(서울=연합뉴스) 김영섭 기자 = 원자력과 관련해 교육과학기술부가 연구개발, 지식경제부가 산업육성을 각각 담당해온 현행 행정체계가 그대로 유지된다.
안병만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은 14일 오후 기자간담회에서 "교과부가 원자력 기초ㆍ원천 분야를, 지경부가 상용 쪽을 맡는 현 원자력 행정체제에 변화가 없는 쪽으로 양 장관 간에 합의가 이뤄졌다"고 밝혔다.
안 장관은 "요르단 연구용 원자로 수주, 아랍에미리트(UAE) 원전 수출 성공은 현재 원자력 행정체제가 잘돼 있어 낳은 결과"라며 "더 이상 이 문제로 설왕설래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안 장관은 "현재 원자력기술 자립화는 95% 정도인데, 원전설계코드ㆍ냉각탑파이프기술 등 나머지 5% 미자립화 기술의 완전국산화를 이뤄낼 것"이라며 "장기적 과제로 2025년까지 소듐고속냉각로, 파이로공정기술, 수소대량시스템 원천기술 개발에 몰입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안 장관은 정부의 세종시 수정안이 제대로 추진되지 않더라도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는 사업 추진에 박차를 가한다는 방침도 밝혔다.
안 장관은 "미래까지 가정해서 과학벨트 사업을 준비하고 있지는 않지만, 만일 세종시에 행정부처가 다시 들어간다면 부지 문제를 재검토해야 한다"며 "단, 현재 입주의사를 밝힌 기업들도 과학벨트가 들어와 기초과학연구원ㆍ대학과 연계된다는 조건으로 양해각서(MOU)를 맺고 있다"고 말했다.
또한 안 장관은 과학벨트 내 고려대와 KAIST 외 다른 대학이 들어올 경우 정부가 설립키로 한 국제과학대학원의 기능을 새 대학이 맡을 수 있도록 할 방침을 밝혔다.
안 장관은 "국제과학대학원은 융복합 첨단 과학기술을 연구할 곳으로 기초과학연구원과 유대관계를 맺어 과학진흥을 도모하게 된다"며 "하지만 새 대학이 정부가 구상한 이 기능을 맡을 수준과 의도를 갖고 온다면 주저하지 않고 받아들일 계획"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