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손보사 공동 車정비소 만든다

(서울=연합뉴스) 최윤정 기자 = 손해보험...

연합뉴스 기자  2010.01.24 00:00:00

기사프린트



(서울=연합뉴스) 최윤정 기자 = 손해보험사들이 자동차보험 손해율을 낮추고자 공동으로 자동차 정비소를 세우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24일 손보업계에 따르면 보험사들은 자동차보험 손해율 경감 대책 중 하나로 자체적으로 정비소를 만들어서 정비업체가 요구하는 수가가 적정한지 등을 따져보는 기준으로 삼겠다는 구상을 하고 있다.

손보업계 한 관계자는 "건강보험공단에서 일산병원을 설립했듯이 보험사들도 표본이 되는 정비소를 만들어 정비원가를 분석하면 정비업계와 수가 인상 폭을 놓고 다툴 필요가 없을 것 같다"고 말했다.

손보사들은 동시에 '토털 서비스 센터'를 설립해서 고객들에게 편의를 제공하면서 보험금이 새지 않도록 단도리하는 안도 살펴보고 있다.

주요 지역마다 공동으로 '토털 서비스 센터'를 만들어 놓고, 고객이 찾아오면 직접 차를 고쳐주거나, 보험사별로 연결된 우량 정비업소를 추천해주고 렌터카를 알선해주기도 한다는 것이다.

지금도 보험사와 계약을 맺은 우량 정비업소들을 이용할 수 있지만, 알음알음으로 정비소를 고르거나 견인차가 견인해주는 대로 가는 경우도 많기 때문이다.

손보업계 한 관계자는 "렌터카 회사들이 쏘나타 차량에 대해 보험사에는 하루 15만원을 받는다면 개별 소비자에게는 절반만 받는 이중가격제를 운영하고 있는데, 토털 서비스 센터를 활용하면 이런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와함께 높은 수준인 입원률을 낮추기 위해 충격과 신체 손상 간의 관계를 과학적으로 분석하는 독일의 제도를 도입하는 방안도 거론되고 있다.

이런 방안에 대해 정비업계는 부정적인 입장이다. 손보업계와 정비업계는 정비수가 인상 폭과 관련해 1년 가까이 입장 차이를 좁히지 못하고 대립하고 있다.

서울자동차검사정비사업조합 관계자는 "현재 정비수가가 비현실적으로 낮으므로 보험사들이 정비 원가를 따져본다는 것이 의미가 없다"며 "현대차는 제휴 정비업소에 시간당 공임 2만7천∼2만8천 원과 부품마진 15%를 인정해주는데 비해, 현재 보험사가 인정하는 정비수가는 1만9천 원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서울,경기,인천 자동차검사정비사업조합은 성명을 통해 "손보사들은 보험금 지출을 줄이는데 도움이 되는 자동차 재활용 부품 활용에 대해 관심을 기울이지 않는 등 자구 노력은 하지 않으면서 정비수가 인상얘기가 나오면 보험료 인상 요인이라며 반대하는 행위를 중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merciel@yna.co.kr

(끝)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