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지불 20만명 넘어..당시 원금만 2억엔
(도쿄=연합뉴스) 김종현 특파원 = 일본 정부가 2차 세계대전 당시 강제 징용됐던 한국 민간인들에게 기업들이 지급하지않은 '미지급 임금 기록'을 한국 정부에 제공하기로 했다고 아사히신문이 7일 보도했다.
이 신문에 따르면 일본 법무성은 징용돼 일본 기업에서 일하다 종전과 함께 급히 귀국하는 바람에 한국 민간인이 지급받지 못한 임금 기록을 오는 3월 한국 정부에 전달하기로 했다.
공문서에 따르면 당시 임금을 지불받지 못한 한국인은 20만명이 넘으며, 총액은 60여년전의 당시 액면으로 2억엔에 달한다.
그동안 한국 정부는 1965년 체결된 한일조약(한일 국교정상화 조약)에 근거해 미지불된 임금에 대한 재산권을 포기했으나 실태 확인을 위해 일본에 미지불 명단 제공을 요구해왔다.
일본 정부는 이에 응하지 않다가 하토야마 유키오(鳩山由紀夫) 정부 출범 이후 방침을 바꿔 강제 징용 한국 민간인에 대한 미지불 임금 기록을 넘기기로 했다.
일본 정부는 군인.군속 등 약 11만건의 미지불 임금 관련 명단은 2007년 한국에 제공했으나 민간기업 징용자 기록을 제공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한국에서는 16만명이 2차 세계대전 중 일본의 탄광과 공장 등에 강제 동원됐다고 신고했다.
한국은 2008년부터 미지급 임금을 본인과 유족에게 지급하고 있으며, 지급 기준은 징용 당시의 1엔을 2천원으로 환산해 최저 20만원(약 1만6천엔)을 지원하고 있다.
작년 말까지 이 지원이 결정된 사람은 7천182명이며, 이번 일본 정부의 자료제공으로 수급자 수가 대폭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 정부는 1965년 한일조약에 기초한 청구권협정으로 한국이 미지불 임금에 대한 재산권을 포기하는 대가로 무상 3억달러, 유상 2억달러의 경제협력을 했기 때문에 미지불 임금을 지급할 의무가 없다는 입장이다.
kimjh@yna.co.kr
(끝)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