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연합뉴스) 김지훈 특파원 = 한국에서 출산율이 급격히 낮아지는 가운데 불법 낙태를 근절하자는 의사들의 캠페인이 전개되는 등 낙태 반대운동이 확산되고 있다고 뉴욕타임스(NYT)가 10일 보도했다.
이 신문은 작년 말 낙태 근절 선포식을 개최한 의사들의 모임을 소개하면서 한때 가족 내부의 문제였던 낙태가 출산율 하락 속에서 사회 문제화하고 있다고 전했다.
1990년대 초반까지 아이 적게 낳기 캠페인이 적극적으로 전개됐지만, 1970년대 여성 1명당 출산율이 4.5명에서 2008년에는 1.19명으로 급락하면서 캠페인의 방향은 정반대로 바뀌었다.
정부도 사문화됐던 관련 법규의 낙태금지를 본격적으로 집행해 처벌할 방침을 밝히면서 낙태반대 운동이 확산되고 있는 것.
산부인과 의사들이 구성한 낙태반대 운동 단체들은 단순한 캠페인에서 벗어나 낙태 시술을 하는 산부인과에 대한 신고를 받아 경찰에 신고하겠다고까지 나서고 있다.
한국에서 낙태는 산모의 건강을 치명적으로 위협하는 경우나 강간으로 인한 임신 등 극히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면 불법이지만, 지난 2005년 시술된 낙태 34만건 중 단 4%만이 이런 예외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낙태 반대에 대한 반론도 만만찮다. 여성단체들이 여전히 낙태할 권리를 주장하고 있는데다 불법낙태가 더욱 음성화돼 의료사고를 유발할 가능성도 있다는 것이다.
한 산부인과 의사는 많은 여성이 낙태를 위해 외국으로 출국하거나 낙태 시술이 지하로 파고들 것이라면서 이는 의료사고를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근본적인 대책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hoonkim@yna.co.kr
(끝)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