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아이티 교민, 강진 직격탄은 피했다"

주도미니카 대사관 정명진 서기관 인터뷰

...

연합뉴스 기자  2010.01.15 00:00:00

기사프린트









주도미니카 대사관 정명진 서기관 인터뷰



(산토도밍고=연합뉴스) 김지훈 특파원 = 아이티와 국경을 접하고 있는 도미니카 공화국 수도 산토도밍고의 한국 대사관은 14일 하루종일 전화벨 소리가 끊이지 않았다.

아이티 한인 교민들의 피해 상황, 안전 여부 등을 문의하는 전화가 쉴새없이 걸려왔다.

아이티 교민 철수를 챙기고 있는 대사관 정명진 서기관의 휴대폰도 계속 울려댔다.

최악의 강진이 휩쓸고 지나간 아이티에 현지 공관이 없어 이곳을 관할로 두고 있는 도미니카 대사관이 아이티 교민 상황을 총괄하기 때문이다.

전날 일단 현지 한인 70여명이 전원 무사한 것으로 확인되면서 한숨을 돌리기는 했지만, 아이티로부터 철수를 희망하는 교민들을 안전지대로 이동시키는 것이 급선무였다.

아이티 수도 포르토프랭스 국제공항이 기능에 큰 타격을 입어 항공편은 이용할 수 없기 때문에 국경을 넘어 도미니카 수도 산토도밍고로 6∼7시간이 걸리는 육로가 사실상 유일한 탈출로다.

강진으로 아이티의 정부 기능이 사실상 상실된데다 교도소가 무너져 수감자들까지 탈출하면서 약탈.방화 등 치안 상태가 악화돼 있어 육로편도 국경을 넘어올 때까지는 안심할 수 없는 형편이다.

이날 아침 의류업체 윌비스 직원 16명을 태우고 출발한 버스가 오후 무사히 국경을 통과했다는 연락이 대사관으로 걸려오자 잠시 안도의 숨을 내쉬기는 했지만, 정 서기관은 다시 남아 있는 아이티 교민 대책 협의로 전화통에 매달려야 했다.

현재까지 파악한 아이티 교민 상황으로는 대부분의 한국 교민들이 지진의 직격탄을 맞은 수도 포르토프랭스 도심지역이 아닌 외곽에 거주하거나 활동하고 있어 다행히 큰 타격은 입지 않은 것으로 파악됐다.

아직 현지에 있는 일부 업체 직원이나 교민들은 현지 치안.안전 상황 등을 지켜보면서 도미니카로 철수하지 않고, 사업재개를 위한 준비를 모색하는 곳도 있고, 도미니카로 철수한 업체중에서도 조만간 아이티 귀환을 추진하는 곳도 있다고 한다.

다음은 정 서기관이 전한 아이티 교민 현황이다.

--오늘 도미니카로 철수한 교민은 모두 몇명인가.

▲16명이다. 모두 의류업체 윌비스의 직원이다.

--산토도밍고로 돌아왔나.

▲윌비스의 도미니카 공장이 있는 국경과 산토도밍고 사이에 있는 `바라오나'라는 도시에 도착했다.

--현재까지 도미니카로 철수한 교민은 모두 몇명인가.

▲어제 20명이 1차로 철수했고, 오늘 16명을 포함하면 모두 36명이다. 70여명의 교민중 절반 정도가 안전하게 철수한 셈이다.

--추가로 철수할 교민들이 있는가.

▲오늘 다시 현지 상황을 파악해봐야 한다. 아이티에 나가 있던 교민들은 대부분 아이티의 공단지역내에서 일을 했다. 이번 지진으로 공단내 피해가 업체마다 조금씩 다르다. 물적으로 큰 해를 입은 공장도 있지만, 경미한 피해에 그친 곳도 있다.

그리고 현재 공단 지역은 유엔군이 치안유지를 위해 지키고 있다. 비교적 안전한 상태이다.

이 때문에 현지에 머물면서 공단내 업체 가동을 모색하려는 곳도 있는 상황이다. 도미니카로 철수한 업체중에서도 상황을 봐가면서 다시 아이티로 들어가는 방안을 모색하는 곳도 있다.

--현재 아이티에 있는 교민중 철수의사를 내비친 사람은 없는가.

▲대사관에서는 교민들이 철수를 원할 경우 적극 지원하고 있다.

다만, 현재까지 파악한 상황으로는 이번 지진으로 아이티 수도인 포르토프랑스 도심내 피해가 극심한 상태이다. 하지만 우리 선교사들이나 업체 공장들이 도심 외곽에 있어서 외신에서 집중적으로 보도되는 도심내 피해상황만큼 심한 피해를 입지는 않은 상태이다.

현지 교민들이 판단하기로 안전상의 문제가 없고 철수할 의사가 없다고 한다면 철수를 강제할 수는 없다. 치안.안전상의 문제를 고려해 이상이 없다면 교민들의 의사를 존중하는 방향으로 협의하고 있다.

추가 철수 요청 교민이 나올지 여부는 오늘 좀 더 상황을 지켜봐야겠다.

--아이티 현지에서 구호활동에 참여한 분들도 있다고 하는데.

▲선교사를 비롯해서 일부 교민들이 구호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고 한다.

--도미니카에서 교민 철수.안전 지원을 위해 몇명이 파견됐나.

▲대사관 직원 1명, 코이카(KOICA) 직원 1명, 그리고 업체 관계자 1명 등 3명이 갔다.

hoonkim@yna.co.kr

(끝)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