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강.시멘트.석탄업 M&A 통해 대기업 육성
(상하이=연합뉴스) 김대호 특파원 = 중국이 올해 10대 산업의 구조조정을 위해 낙후설비 퇴출을 가속화하기로 했다.
22일 상해증권보(上海證券報)에 따르면 국무원은 전날 상무회의에서 전력, 석탄, 코크스, 철합금, 카바이드, 철강, 유색금속, 건자재, 경공업, 방직 등 10대 산업의 낙후설비 퇴출을 가속화하기 위해 엄격한 시장진입 제한, 전기요금 차별화 등을 추진키로 했다.
중국은 금융위기 이후 에너지효율을 높이고 시장 수요공급의 균형을 이루기 위해 산업구조조정을 중점 추진하고 있다.
위안룽화(袁隆華) 공업정보화부 원재료국 부국장은 "우리 부와 관련 부문들이 이미 에너지절약과 환경보호 표준 제정을 비롯, 업종별 진입기준 상향 조정, 생산심사기준 강화, 퇴출기구 설립 등의 낙후설비 퇴출방안을 마련했다"고 말했다.
국가발전개혁위원회와 공업정보화부는 최근 시멘트, 평판유리 산업과 관련해 `평판유리업 진입 관리방법'을 제정했다.
공업정보화부는 또 철강업을 겨냥해 `철강기업생산경영조건 및 관리방법'을 도입한 데 이어 `철강기업 인수합병(M&A) 활성화 방안'을 막판 손질하고 있다.
량둔스(梁敦仕) 석탄운수판매협회 부비서장은 "석탄산업은 소규모 탄광의 설비가 우선적으로 철거될 것"이라면서 "특히 산시성(山西省) 등 자원이 풍부한 성을 중심으로 낙후설비의 퇴출작업이 본격화할 전망"이라고 말했다.
공업정보화부는 지난달 발표한 `낙후설비 퇴출임무 통지'에 따라 각 성(省), 시(市)별로 낙후설비 조사에 돌입, 올해 주요업종의 낙후설비 퇴출량이 전년의 두배에 이를 전망이다.
업계 인사는 "중국에서 낙후설비를 보유한 기업은 살아남기 힘들게 됐다"면서 "철강과 석탄, 시멘트 분야는 M&A가 병행돼 강한 기업은 더 강해질 것"이라고 분석했다.
daeho@yna.co.kr
(끝)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