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한나라, 세종시 해법 '백가쟁명'>

(서울=연합뉴스) 정윤섭 기자 = 세종시 ...

연합뉴스 기자  2010.02.09 00:00:00

기사프린트



(서울=연합뉴스) 정윤섭 기자 = 세종시 수렁에 빠진 한나라당 내에서 세종시 문제를 풀기 위한 해법이 백가쟁명식으로 제기되고 있다.

친이(친이명박)-친박(친박근혜)계 대립구도에 막혀 세종시 문제가 전혀 진척을 보지 못하는 만큼 계파별 의원별로 `세종시 블랙홀'에서 탈출하기 위한 다양한 아이디어를 쏟아내고 있는 것이다.

현재까지 제기된 해법은 ▲2-3월 당론결정 후 4월국회 법안처리 ▲2월국회 종결론 ▲6월 국민투표 ▲전원위원회 끝장토론 후 크로스보팅(자유투표) ▲본회의 무기명투표 ▲정운찬 국무총리의 수정안 철회선언 ▲차기대선까지 결정유보론 등이다.

하지만, 해법마저도 접점을 찾을 수 없을 정도로 극과 극을 달리고 있어 세종시 문제로 혼란스런 당의 사정을 여실히 웅변하고 있다는 지적이다.

친이계 내에선 일단 당내 토론을 통해 2-3월중 세종시 당론을 결정하고, 4월 국회에서 결론을 내자는 의견이 많다.

토론을 통해 중립지대와 일부 친박의원의 협조를 얻어낸다면 수정안 당론 채택 또는 절충안 도출의 길이 열리고, 이를 토대로 국회 표결에 나서자는 주장이다.

개혁성향 초선의원 모임인 민본21은 `열린 토론'에 방점을 찍으면서 `선(先) 당론결정, 후(後) 수정안 국회제출'을 해법으로 제시하고 있다. 내달 중 당론을 모으고 나면 정부가 당론을 반영해 수정안을 국회에 제출하라는 주장이다.

일부 친이계 의원은 이달 중 수정안 당론을 채택하면 내친김에 2월 국회에서 끝장을 내야 한다는 주장을 편다. 이른바 2월국회 종결론이다.

친박계 내에선 다른 의미에서 2월국회 종결론을 거론한다. 어차피 수정안의 국회 통과가 불가능한 만큼 2월국회에서 수정안을 부결시키자는 의미다.

이와 함께 친이계 일각에선 친이-친박 대립구도 하에선 수정안 당론 채택, 국회 통과가 원천봉쇄되는 만큼 국민투표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자는 목소리도 나온다.

행정부처 이전을 전제로 하는 세종시 원안은 수도분할이고, 이는 국가안위와 직결되는 문제인 만큼 대통령의 결단을 통해 국민투표를 실시하자는 주장이다.

더 나아가 이군현, 신영수 의원은 국회 대정부질문을 통해 6.2 지방선거 때 세종시 국민투표를 실시하자고 공개제안했다.

하지만, 청와대와 정 총리는 국민투표를 검토한 바 없다고 공식부인했고, 당내에서도 정치권이 해결하지 못한 세종시 문제를 국민에게 떠넘기는 것은 무책임한 행위이자 오히려 국론분열 현상을 부추길 수 있다며 반대론이 강하게 제기된다.

이와 관련, 친이계 모임인 `함께 내일로'는 설연휴 직후 자체 워크숍을 가질 예정이어서 세종시 해법을 둘러싼 내부 혼선을 정리할지 주목된다.

또 최근 친박계 내에선 정 총리가 수정안을 자진철회해야 한다는 요구도 나온다. 정 총리가 취임하면서 세종시 문제를 제기했기 때문에 결자해지 차원에서 수정안을 철회하라는 주장이다.

아울러 소장파와 중립지대 의원들 사이에선 ▲국회의원 전원이 참석해 의안을 심사하는 전원위원회를 소집해 끝장토론을 하고 본회의에서 자유투표하는 방안 ▲소신투표를 보장하기 위한 본회의 무기명투표안 ▲세종시갈등 봉합을 위해 세종시 문제 결정을 차기대선까지 유보하는 방안이 거론된다.

jamin74@yna.co.kr

(끝)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