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北, 화폐개혁 후유증 치유 `안간힘'>

내각총리 사과, 당 계획재정부장 해임 `민심 달...

연합뉴스 기자  2010.02.11 00:00:00

기사프린트

내각총리 사과, 당 계획재정부장 해임 `민심 달래기'

양대 보안기관 연합성명 `불순세력 성전' 위협도



(서울=연합뉴스) 장용훈 기자 = 북한이 최근 화폐개혁 이후 흉흉해진 민심을 수습하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

작년 11월30일 `구권 100원 대 신권 1원' 비율로 화폐교환을 단행했지만 국정가격 고시가 늦어져 상점이 정상적으로 운영되지 않았고 뒤이은 시장폐쇄 조치로 물가가 폭등하면서 주민들의 생활 형편이 급격히 나빠졌다.

설상가상으로 외화사용 금지는 극심한 공급부족을 더 부채질했다. 북한의 공급부족을 채워줬던 중국산 재화가 외화사용 금지로 거의 끊기다시피 했기 때문이다.

북한 당국은 이러한 혼란을 무마하고 민심을 잡기 위해 강온양면책을 구사하는 있는 듯하다.

최근 시장 거래와 외화사용을 사실상 다시 허용한 것 자체가 더 이상의 민심 악화를 막기 위한 `고육지책'으로 보인다.

내각 총리가 직접 주민 대표 앞에 나서 정책 실패에 대해 사과한 것에서도 북한 당국의 다급함이 읽혀진다.

대북 소식통들에 따르면 북한의 김영일 내각 총리는 이달 초 평양의 인민문화궁전에 평양 시내 인민반장 수천명을 모아놓고 화폐개혁과 시장폐쇄 조치의 여러 가지 부작용에 대해 사과하고 국정가격 운용 등 후속 조치에 충실히 따라줄 것을 당부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의 인민반장은 당국의 조치를 주민들에게 전달하는 최일선 메신저로 `민심'과 바로 맞닿아 있다고 봐야 한다. 이런 인민반장들을 모아놓고 내각 총리가 머리를 숙인 것 자체가 극히 이례적인 일이다.

대북 소식통은 "북한의 내각 총리까지 나서 사과한 것은 김정일 위원장과 후계자 김정은한테 책임이 있다는 식으로 민심이 돌아가는 것을 미리 차단하려는 의도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비슷한 맥락에서 화폐개혁과 시장폐쇄 등을 주도한 박남기 당 계획재정부장을 해임한 것도 민심 달래기의 한 방편으로 볼 수 있다.

대북 소식통은 "1월 중순 중앙당 간부들이 모여 자아비판과 상호비판을 하는 `중앙당 대논쟁' 자리에서 박 부장이 호되게 공격을 받은 뒤 1월 중순 해임된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일각에서는 김정일 위원장이 최근 함경남도 함흥시의 2.8비날론연합기업소를 이틀 연속 시찰한 것도 경제 향상에 전력하고 있음을 과시하려는 `민심 무마용'으로 보는 분석도 나온다.

그렇다 해서 북한 당국이 유화책에만 매달리는 것 같지는 않다. 주민들에게 공포심을 심어주면서 통제를 강화하는 조치도 병행하고 있다.

대표적인 예가 지난 8일 사상 처음으로 나온 북한 양대 보안기관의 `연합성명'이다. 북한의 인민보안성(경찰)과 국가안전보위부(방첩기관)는 이 성명에서 `불순세력을 쓸어버리기 위한 보복성전'을 선언,주민통제를 대폭 강화할 것임을 분명히 했다.

대북 라디오방송인 자유북한방송은 함경북도 온성군의 통신원 전언을 인용, "직장의 당비서가 노동자들을 모아놓고 노동신문에 실린 연합성명 전문을 읽어주면서 적들의 반공화국 책동에 각성할 것을 강조했다"며 "휴대전화나 불량 녹화물(동영상)을 소지한 경우 자수하라고 강요했다"고 전했다.

이 방송은 또 9일 오전 청진시 수남시장 인근에서서 40대 초반의 화교 남성 두 명이 북한의 내부정보를 유출한 혐의로 처형당하는 사건도 있었다고 말했다.

이처럼 민심 수습을 위해 화폐개혁 등의 정책실패를 자인하더라도 계속 유화책만 펴면 국가의 권위가 떨어진다고 보고 `공포정치'를 병행하는 것이 북한의 일반적인 행태라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jyh@yna.co.kr

http://blog.yonhapnews.co.kr/king21c/

(끝)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