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서울 구의장에 듣는다> (2)고문식 중구의장

"복지 증진 위해 조례 제정ㆍ정비 주력"
"지방...

연합뉴스 기자  2010.01.04 00:00:00

기사프린트

"복지 증진 위해 조례 제정ㆍ정비 주력"

"지방의원 수 결정기준 다원화 필요"



(서울=연합뉴스) 한상용 기자 = 고문식 서울 중구의회 의장은 4일 연합뉴스와 신년인터뷰에서 "지방선거를 앞두고 조례를 제정ㆍ정비하는 데 주력하겠다"며 "장애인 지원, 국가유공자지원 등에 대한 조례도 세분화하겠다"고 밝혔다.

고 의장은 "중구 신당동에서 50년 넘게 뿌리내리면서 누구네 집 숟가락이 몇 개인지도 알만큼 이웃과 오랫동안 교류해왔다"며 "남은 의정 활동 기간에 주민들의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하겠다"고 말했다.



고 의장과 일문일답.

-- 지난해를 돌아볼 때 아쉬웠던 점은

▲ 외적인 면에서 중구는 서울시에서 가장 적은 면적과 인구를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자세히 들여다보면 하루 유동인구 350만명을 육박하는 서울의 중심지에 위치하다 보니 행정수요가 엄청나게 발생한다. 한 해 예산규모도 3천억원에 달한다.

인구라는 획일적인 기준으로 지방의원의 수를 규정하다 보니 중구에는 이 많은 규모의 업무를 지역구 의원 8명과 비례대표 의원 1명이 전담해야 하는 실정이다.

지방의원 수를 결정하는 기준을 다원화하고 현장밀착의 의정 활동을 펼 수 있도록 하는 점이 필요하다고 느꼈다.

-- 새해에 역점을 두는 의정 활동은

▲ 경기가 안정기로 접어들고 있다지만 여전히 서민들의 체감경기는 춥다. 주민들과 만나 대화를 해 보면 실업문제나 노인들 생계 문제 등 주변에 항상 남아 있는 문제들이 해결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관심을 삶의 현장으로 돌려 재래시장을 기반으로 살아가는 영세상인, 독거노인, 장애인 등 구민의 복지증진을 위한 방법을 구민과 함께 모색하고 추진하는 것에 역점을 두려고 한다. 또 올해 지방선거를 앞두고 조례를 정비하고 장애인 지원, 국가유공자 지원에 대한 조례를 세분화하겠다.

-- 지난해 중구의회의 성과를 꼽는다면

▲ 윤락행위방지법이 시행된 이후 변종으로 생겨나는 업소 단속에 속수무책인 경우가 많았다. 신당5동에는 찻집이라는 간판을 걸고 불법영업이 이뤄지고 있다는 얘기가 계속 나와 지난 7월 구정 질문 때 단속의 필요성을 언급했고, 중부경찰서 관계자들과 간담회를 통해 이를 다시 한번 촉구했다. 중부경찰서에서 집중단속을 해 불법찻집이 63개소에서 9곳으로 많이 감소했다. 이러한 노력이 주거환경 개선에 도움이 됐다고 생각한다.

-- 지난해 중구청과 의회 간 대립이 심했다는 지적이 있다

▲ 외부에서는 이것이 대립으로 비쳤을 수도 있다. 하지만 지방의회는 구민의 세금이 적재적소에 잘 쓰이고 있는지, 낭비되지는 않았는지 살펴보고 구민의 대표로 시정을 요구하는 것이 주요 임무다. 또 충무로국제영화제와 관련해 중구청장에 대한 조사특위 구성은 구민의 대표로 행정을 견제하는 수단으로 활용된 것이다. 이는 행정업무를 조사하는 것 외에 특정 의도를 갖고 추진하는 것이 절대 아니다. 중구청과는 상생을 위해 서로 견제하고 협력하고자 최선을 다하겠다.

-- 중구청이 2010년 시행할 예정이었던 관내 초등학교 무료급식 예산을 최근 전액 삭감한 이유는

▲ 무료급식은 3~5년간 계획을 세워 차례대로 추진해야 할 사안이다. 재정 부담으로 한꺼번에 32억원의 예산안을 통과시킬 수 없다. 무료 급식을 하지 말자는 것은 아니다. 물론 무료 급식에 대한 검토는 많이 했지만, 구민의 세금으로 운영되는 만큼 사립과 국립 초교 등 전체 초등학교를 대상으로 무료 급식을 지원하기는 어렵다고 판단했다.

gogo213@yna.co.kr

(끝)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