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경환 장관 표준협회 조찬회 강연서 밝혀
"대기업-중기 짝 맞추면 우선 지원"
(서울=연합뉴스) 강훈상 기자 = 중소기업 취업을 기피하는 경향이 있는 박사 학위 소지자들을 정부 출연연구소에 우선 고용한 뒤 연구인력이 필요한 중소기업에 파견하는 방식의 `우회 취업' 정책이 시행된다.
최경환 지식경제부 장관은 22일 한국표준협회 주최 최고경영자 조찬회 강연에서 "중소기업 명함을 들고 다니기 싫어 박사급 인력이 (중소기업에) 취업하지 않는다"며 이들을 정부 출연연구소 소속으로 취업시킨 뒤 기업에 파견하는 제도를 도입했다고 말했다.
지경부는 올해 일단 200명의 박사급 고급 인력을 정부 출연연구소에 고용키로 했으며, 이들이 중소기업의 연구인력으로 파견되면 급여의 일부분을 보조키로 하고 관련 예산을 확보했다.
최 장관은 "이들은 중소기업에 파견돼 3년간 근무해보고 `앞길'이 보인다고 판단하면 그 기업에서 계속 일할 수 있고 아니면 출연연구소에 원복할 수도 있다"며 "연구ㆍ개발(R&D) 인력이 부족한 중소기업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지경부는 현재 중소기업 파견을 조건으로 출연연구소에 취업할 인력을 모집하고 있는데 반응이 상당히 좋은 것으로 알려졌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상생협력에 대해 최 장관은 "수요처인 대기업과 공급처인 중소기업이 짝을 맞추는 경우 R&D 예산을 우선 지원할 것"이라며 "수요처가 해결되면 중소기업이 안심하고 모든 역량을 집중할 수 있다"고 말했다.
최 장관은 "소프트웨어 분야는 대기업이 거의 공짜로 중소기업의 생산물을 납품받는 실정"이라며 "대기업이 우월적 지위를 남용하는 것을 제한하고 중소기업을 우대하는 공정경쟁 환경을 조성하는 데 힘쓰겠다"고 강조했다.
hskang@yna.co.kr
(끝)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