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부터는 112, 119, 122(해양사고), 117(학교폭력) 등 20개의 신고전화가 112, 119, 110 단 3개로 통합된다.
국민안전처(장관 박인용)는 2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제16차 안전정책조정회의를 개최하여 지난해 6월부터 전문기관 연구용역, 공청회, 관계기관 협의 등을 통해 마련한 “긴급 신고전화 통합방안”을 최종 확정·발표했다.
현재 신고전화는 112, 119뿐만 아니라, 122(해양사고), 117(학교폭력) 등 20개가 넘는 신고전화가 운영되고 있어 국민들에게 불편을 초래하고 있다. 최근 설문조사에서도 신고전화 수가 너무 많으며(약 80%), 신고전화 수를 줄여야 한다는 의견이 약 90%를 차지했다.
게다가 112와 119를 제외한 대부분의 신고전화는 인지도가 저조하여 필요할 경우 인터넷을 검색하거나, 114로 문의하는 등 신고전화 이용에 불편함을 겪을 수밖에 없었다.
2016년부터는 모든 신고전화는 긴급 신고와, 비긴급 신고로 구분해, 종류에 상관없이 모든 긴급한 범죄신고는 112로, 긴급한 재난이나 구조신고는 119로 하면 된다. 상황이 너무 급박하여 112에 할 전화를 119에 한다고 해도 문제되지 않는다. 두 기관이 사실상 하나처럼 신고내용을 실시간 공유하는 방식으로 개편되기 때문이다.
다만, 112와 119에서 여러 긴급전화를 신속하게 처리하기 위해, 긴급출동이 필요하지 않은 각종 민원이나 상담전화는 110 하나만 기억하고 사용하면 필요한 기관에 자동 연결되도록 개편된다. 이는 112, 119로 걸려 오는 민원·상담 전화로 인해 112·119 신고접수가 지연되는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민원·상담 처리의 국민 편의성을 제고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긴급 신고전화 통합은 이미 세계적인 추세로, 미국은 911에서 모든 긴급신고를 처리하며, 민원·상담전화는 311로 통합 운영하고 있다. 영국 역시 긴급 신고전화는 999, 민원·상담전화는 101로 통합 운영 중이다. 독일의 경우 범죄신고는 110으로, 재난신고는 112로 통합 운영해 왔으며, 지난 ’07년에는 미국의 311을 벤치마킹하여 민원·상담전화도 115로 통합했다.
그간 논의과정에서 범죄·재난 긴급전화는 119 단일번호로 통합하는 방안도 유력하게 검토되었으나, 여러 가지 문제점을 고려하여 112, 119 번호체계는 유지하는 것으로 최종 결정돼, 세 개의 번호로 통합하기로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