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29일부터 택시 위반행위 중 승차거부, 합승, 부당요금, 카드결제 거부(영수증 발급거부)등에 대한 처분 법규가 변경된다. 기존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이하 여객법)에서 ‘택시운송사업의 발전에 관한 법률’로 법규 명칭도 변경됐다.
택시 승차거부의 경우, 삼진아웃제를 도입해 운수종사자가 2년 내 1차 위반시 과태료 20만원, 2차 위반시 과태료 40만원 및 자격정지 30일, 3차 위반시 과태료 60만원과 함께 운전자격이 취소된다. 사업자의 경우 면허차량 보유대수 및 위반건수를 토대로 위반지수를 산정해 최고 면허취소까지 처분된다. 사업자별 위반지수는 (위반건수)/(면허차량 보유대수)×5의 산식으로 산출돼, 위반지수 ‘1’은 1차 위반, ‘2’는 2차 위반, ‘3’은 3차 위반으로 처분한다.
또 부당요금, 합승, 카드결제 거부(영수증 발급거부)의 경우 운수종사자가 1년 내 1차 위반시 과태료 20만원, 2차 위반시 과태료 40만원 및 자격정지 10일, 3차 위반시 과태료 60만원․자격정지 20일이 처분가능하며, 사업자의 경우 승차거부 처분과 동일하게 위반지수에 따라 최고 180일의 사업일부 정지 처분을 할 수 있다.
기존 여객법은 승차거부 처분과 부당요금, 합승, 카드결제 거부(영수증 발급거부)에 대한 처분이 동일했으나, 법규 변경으로 '승차거부'에 대한 처분이 더 강해진 모습이다.
또한 택시운송사업자가 소속 운수종사자가 아닌 자에게 택시 제공시 1회만 위반해도 면허가 취소되며, 특히 서울시의 경우, 내년 10월 1일부터 운수종사자 처우개선을 위해 사업자가 1년 안에 유류비․교통사고 처리비를 3회 전가시키는 경우 면허 취소되고 과태료 1천만원을 부과한다.
이와 같은 법규 변경은 운수종사자 준수사항 위반 시 처분기준이 여객법에 비해 대폭 강화된 모습이다. 서울시 양완수 택시물류과장은 "오는 29일부터 시행되는 개정 법령에 의거 택시불법행위에 대해 강력히 대처할 것이며, 택시서비스 개선을 위해 다각적으로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