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패션, 30년 세월동안 어떤 변화가 있었나?
10일(금) 오후5시 양재동 엘타워에서 한국패션협회 창립 30주년 기념식이 진행됐다. 국내외 패션업계 관계자 및 협회 회원사 대표들 2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협회의 역사와 협회가 존재했던 한국패션의 역사를 담은 책 ‘한국패션협회 30년사’를 공개했다.
한국패션협회(회장 원대연)는 1985년 4월 12일 명동 유네스코 회관에서 김창숙, 노리노, 배용, 손석화 등 국내 하이패션 대표 33인이 발기한 ‘한국하이패션협회’를 시작으로 만들어졌다.
원대연 회장은 축사에서 “발기인 33명에서 시작된 협회가 지금은 350개 회사를 회원으로 두고 있다”며, “협회는 이천에 패션물류유통단지를 건설, 패션종사자들의 공동 물류센터를 완성했으며, 패션기업과 백화점이 상생의 길을 걷기 위한 협약을 성사시켰다”고 밝혔다. 또 “삶의 질이 높은 사회일수록 패션이 발달된다”라며 패션산업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한국패션의 발전가능성에 대해서는, “곧 전 세계의 중심 무대가 아시아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많은데, 이에 띠라 한국 패션의 미래가 매우 밝다”라는 입장을 밝힌 가운데, “국내 패션 산업을 세계화 하는 것이 패션협회의 목표”라며 포부를 전했다.
이날 참석한 새누리당 원유철 정책위원회 의장은 “새누리당에서는 패션진흥법안을 마련하고 있다”며, “패션은 많은 산업분야와 연결지을 수 있는 고부가가치 산업”이라고 말했다. 또 새정치민주연합 전순옥 의원은 지난날 프랑스 패션관계자와의 대화를 전하며 “프랑스 패션관계자는 ‘한국이 프랑스나 이탈리아 패션을 뛰어 넘을 날이 멀지 않을 것이다’라고 말해 기대가 큽니다”라고 했다.
1985년 12월 14일 당시 하이패션협회는 파리 프레타포르테 전시회와 오사카 섬유의류 박람회에 참가한 한국 업체들의 실적 발표를 겸한 창립기념 패션쇼를 개최했고, 1986년 10월 27일부터 3일간 여의도 63빌딩 전시장에서 제1회 서울국제여자기성복 박람회를 개최했다. 현재 협회는 이탈리아, 중국, 일본 등의 패션협회와 협약을 맺어 교류하고 있으며, 국내 패션인들을 위한 정보를 온라인으로 제공하고, SBS TV프로그램 ‘패션왕 코리아’를 통해 K-패션을 전파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한국패션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한편, 이날 한국패션협회 이용렬 초대 회장, 공석붕 전임 회장, 노라노 디자이너, 배용 디자이너, 한아인터내셔날 안윤정 대표, 서울대학교 조동성 명예교수를 비롯, 새누리당 원유철 정책위원회 의장, 새정치민주연합 전순옥 의원, 산업통상자원부 김화영 과장, 섬유산업연합회 성기학 회장, 롯데, 현대, 신세계, 갤러리아, AK 등 5개 백화점 상품본부장 등 각계 인사가 참석했다.
10일(금) 오후5시 양재동 엘타워에서 한국패션협회 창립 30주년 기념식이 진행됐다. 국내외 패션업계 관계자 및 협회 회원사 대표들 25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협회의 역사와 협회가 존재했던 한국패션의 역사를 담은 책 ‘한국패션협회 30년사’를 공개했다.
한국패션협회(회장 원대연)는 1985년 4월 12일 명동 유네스코 회관에서 김창숙, 노리노, 배용, 손석화 등 국내 하이패션 대표 33인이 발기한 ‘한국하이패션협회’를 시작으로 만들어졌다.
원대연 회장은 축사에서 “발기인 33명에서 시작된 협회가 지금은 350개 회사를 회원으로 두고 있다”며, “협회는 이천에 패션물류유통단지를 건설, 패션종사자들의 공동 물류센터를 완성했으며, 패션기업과 백화점이 상생의 길을 걷기 위한 협약을 성사시켰다”고 밝혔다. 또 “삶의 질이 높은 사회일수록 패션이 발달된다”라며 패션산업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한국패션의 발전가능성에 대해서는, “곧 전 세계의 중심 무대가 아시아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많은데, 이에 띠라 한국 패션의 미래가 매우 밝다”라는 입장을 밝힌 가운데, “국내 패션 산업을 세계화 하는 것이 패션협회의 목표”라며 포부를 전했다.
이날 참석한 새누리당 원유철 정책위원회 의장은 “새누리당에서는 패션진흥법안을 마련하고 있다”며, “패션은 많은 산업분야와 연결지을 수 있는 고부가가치 산업”이라고 말했다. 또 새정치민주연합 전순옥 의원은 지난날 프랑스 패션관계자와의 대화를 전하며 “프랑스 패션관계자는 ‘한국이 프랑스나 이탈리아 패션을 뛰어 넘을 날이 멀지 않을 것이다’라고 말해 기대가 큽니다”라고 했다.
1985년 12월 14일 당시 하이패션협회는 파리 프레타포르테 전시회와 오사카 섬유의류 박람회에 참가한 한국 업체들의 실적 발표를 겸한 창립기념 패션쇼를 개최했고, 1986년 10월 27일부터 3일간 여의도 63빌딩 전시장에서 제1회 서울국제여자기성복 박람회를 개최했다. 현재 협회는 이탈리아, 중국, 일본 등의 패션협회와 협약을 맺어 교류하고 있으며, 국내 패션인들을 위한 정보를 온라인으로 제공하고, SBS TV프로그램 ‘패션왕 코리아’를 통해 K-패션을 전파하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한국패션 발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한편, 이날 한국패션협회 이용렬 초대 회장, 공석붕 전임 회장, 노라노 디자이너, 배용 디자이너, 한아인터내셔날 안윤정 대표, 서울대학교 조동성 명예교수를 비롯, 새누리당 원유철 정책위원회 의장, 새정치민주연합 전순옥 의원, 산업통상자원부 김화영 과장, 섬유산업연합회 성기학 회장, 롯데, 현대, 신세계, 갤러리아, AK 등 5개 백화점 상품본부장 등 각계 인사가 참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