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포털 잡코리아(대표 윤병준)가 최근 직장인 1,648명을 대상으로 ‘이직 성공비결’을 묻는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올해 이직에 성공한 직장인들이 꼽은 최고의 이직 성공비결은 ‘실적 관리’였다. 특히 직장인 가운데 절반은 올 들어 이직을 시도해 본 것으로 조사됐다. 먼저 직장인들에게 올해 이직을 시도했는지를 물은 결과 49.0%가 ‘올 들어 이직을 시도한 적이 있다’고 답했다. △30대가 52.8%로 가장 이직을 많이 시도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20대가 45.4%로 가장 적었다. △40대 이상의 이직시도 비중은 48.0%였다.
올 들어 이직을 시도한 직장인들 중 실제로 이직에 성공한 경우는 53.1%로 나타났다. 올 들어 이직을 시도한 직장인 중 성공률이 가장 높았던 응답군은 △대리급으로 이직 성공률이 56.7%로 나타났다. 반면 이직 성공률이 가장 낮게 나타난 응답군은 △과장급으로 50.4%로 전체적으로는 성별, 직급, 연령에 따른 성공률 차이가 두드러지지 않았다.
이직 성공비결을 묻자 ▲전 직장에서 실무 지식/경험실적을 잘 쌓은 것(46.6%)이 1위를 차지했다. ▲연봉/직급 등 근로 처우를 욕심내지 않고 적정한 수준을 제시한 것(44.3%)이 근소한 차이로 2위로 나타난 가운데 ▲포트폴리오/경력기술서/이력서 등 평소 꾸준한 경력관리(31.7%)가 이직 성공비결 3위에 꼽혀 눈길을 끌었다. 또 ▲면접에서 인간적인 매력/호감을 잘 표출한 것(19.6%)이나 ▲전 직장에서의 평판 관리를 잘해온 것(16.8%), ▲꾸준히 인맥을 형성하고 직무 관련 네트워크를 갖춰온 것(16.3%)도 이직 성공비결로 꼽혔다. ▲직무 역량과 관계된 스펙형성(14.5%), ▲연봉/직급을 깎아 하향지원(7.7%) 등의 기타 응답도 이어졌다.
올해 이직에 성공한 직장인 가운데 21.7%는 직전 직장보다 연봉이 오히려 낮아지기도 했다. 이직자 중 49.2%는 ‘현 직장에서의 연봉이 직전 직장에서보다 높다’고 답한 가운데 21.7%는 ‘전 직장보다 연봉이 낮다’고 답했다. ‘전 직장 연봉과 같다’고 답한 직장인도 29.1%로 적지 않았다. 전 직장보다 낮은 연봉으로 이직에 성공한 직장인은 △여성에서 25.5%로 가장 많았으며, △사원급(24.2%), △30대(22.4%)의 순으로 나타났다.
재직 중인 회사에 대해 느끼는 만족감은 10점 만점에 평균 6.0점을 기록했다. 직장인에게 회사에 느끼는 만족감을 개방형으로 입력하게 하여 집계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 올해 재직 직장 만족도를 살펴보면 △이직 성공 그룹에서 6.6점으로 가장 높았다. 사회 생활을 시작한 이래 △이직시도 경험이 없거나(6.3점) △올해는 이직 시도를 하지 않았던(6.0점) 그룹보다 높은 수치였다.
반면 △올해 이직을 시도했으나 실패했다고 밝힌 응답군의 직장 만족도는 5.0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참고로 △이직한 직장의 연봉이 이전 직장보다 낮다고 답한 그룹의 만족도는 6.2점이었으며 △복지가 이전만 못하다(6.0점), △평판과 규모가 이전만 못하다(5.5점) 등으로 나타났다. 심지어 △이직한 직장의 업무 스트레스가 직전 직장보다 극심하다는 응답군(5.1점) 보다도 이직 실패 직장인의 직장 만족도가 낮았다고 잡코리아는 밝혔다.
since 1995 대한뉴스 홈페이지 http://www.daehannews.kr에서 더 많은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