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2일 국무회의와 고용정책심의회를 열어 2017년 주요 일자리 과제 세부추진계획을 발표하고 점검했다. 올해 자율주행차·드론 등 20개 분야에서 8만 4천개의 양질 일자리 창출을 골자로 한 2017년 정부 부처별 주요 일자리 과제 세부추진계획을 발표했다. 이 계획은 크게 드론 등 신산업 육성과 복지서비스 확대, 창업 지원강화와 기타 과제 등으로 구성됐다.
국토교통부는 국토교통 7대 신산업으로 자율주행차와 드론, 스마트시티, 공간정보, 해수담수화, 제로에너지 건축, 리츠 등을 선정하고, 관련 인프라 구축을 진행 중이며, 3700개의 일자리를 만든다. 자율주행차는 관련 임시운행허가 제도를 정비하고 있으며, 드론은 전용 비행시험장 3곳을 2019년까지 구축할 계획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에너지 신산업으로 4400개, ICT 융합 신산업으로 2800개의 일자리를 만들 전망이다. 신재생에너지 사업은 태양광 집중 보급을 위한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고, 장기 고정가격을 위한 경쟁입찰 제도를 운용해 4400명을 새로 채용한다.
ICT 융합신산업에 민관 연구·개발 투자를 해 미래성장동력 분야 일자리 2800개를 만든다. 보건복지부는 노인장기요양 서비스를 확대해 4만 900개의 일자리를, 유망환경기업을 육성해 1200개의 일자리를 각각 창출한다. 창업지원에서는 환경부 주도의 유망환경기업 육성과 농림부 주도의 농식품분야 창업 활성화 정책으로 1200개, 3200개의 일자리가 창출될 전망이다. 여성가족부는 고부가가치 직종에 대한 직업교육훈련 확대로 9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것으로 예상했다.
중소기업청은 맞춤형 기술·지식 창업 플랫폼을 확충해 창업자를 양성함으로써 6500개의 일자리를 만들어낼 계획이다. 행정자치부는 소규모 지역상권과 일자리 모델을 발굴해 4200개의 일자리를, 교육부는 산업수요 중심의 대학교육 체제전환을 통해 3500개의 일자리를 창출할 예정이다. 정부는 분기별로 추진계획 준수 여부, 일자리 창출 효과 등을 점검하며, 우수 사례를 공유하고, 행정·재정적 인센티브를 활용해 일자리 창출에 주력하도록 유도할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