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의 유망 콘텐츠인 가상현실(VR) 게임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4년간 약 870억원의 대규모 정부예산 투입을 주문하는 정책보고서가 나왔다. 8일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의 요청으로 경희대 산학협력단이 작성한 ‘가상현실게임 활성화 방안 연구’ 보고서는 국내 VR게임을 활성화하기 위한 정책에 2017~2020년 4년 동안 총 867억 5천만원에 달하는 정부 예산이 필요하다고 추산했다. 연도별 소요예산은 올해 172억원, 2018년 362억 5천만원, 2019년 175억원, 2020년 158억원이다.
VR게임 개발지원센터·체험관 설립 등 신수요 및 시장 창출에 170억원, VR게임 생태계 구축 및 인력 양성에 554억원, 관련 기술혁신을 유도하기 위한 환경조성에 91억원, 관련 법제도 정비 및 문화환경 개선에 52억 5천만원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 국내외 VR게임 산업을 분석한 연구보고서는 이번 보고서가 사실상 처음이다. VR게임 산업은 발전 초기 단계여서 여러 위험요소들이 남아 있는 데다 킬러콘텐츠의 부재로 불확실성이 크다.
당장은 국내 여건도 열악한 편이다. 2016년 말 현재 국내 VR게임 개발업체는 62개사, 개발 중인 VR게임은 101개로 조사됐다. 이들 업체 가운데 3분의 2 이상이 매출 10억원 미만의 벤처기업이다. 보고서는 국내 게임업체들이 VR게임 분야에서 후발주자지만 게임개발 역량이 높아서, 효과적인 조기 지원으로 국내 시장과 관련 산업 생태계를 조성한다면 수년 내 본격적으로 확대될 세계 VR게임 경쟁에서 충분한 승산이 있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VR게임 활성화 정책은 수요 중심으로 가야 하고, 정부가 특정 기술을 선택해 지원하기보다 기업들이 자발적으로 기술혁신을 이룰 수 있게 환경을 조성하는 역할을 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에 앞서, 7일 소프트웨어정책연구소도 ‘VR·AR의 발전방향과 국내 산업 활성화 방안 연구’ 보고서를 통해 한국의 소비자와 기업들이 VR·AR을 접할 기회가 부족해 시장 형성이 늦고 투자자와 기업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이뤄지고 있지 않다며, 활성화 단계로 빠르게 진입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