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연구원은 8일 ‘중국의 산업구조 고도화와 우리 주력산업의 대응전략’ 보고서에서 업종별 전문가 평가를 통해 한국과 중국의 주력산업 경쟁력을 비교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주력산업의 품질·기술 경쟁력이 5년 후면 중국에 거의 따라잡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우리나라는 주요 업종의 품질과 기술 면에서 중국에 우위를 점하고 있지만, 5년 뒤면 그 격차가 대폭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해당 보고서는 업종별 전문가 평가를 통해 한국과 중국의 주력산업 경쟁력을 비교한 수치를 토대로 작성됐다.
가전의 경우 한국을 100점으로 뒀을 때 현재 중국의 품질 경쟁력은 90점이지만, 5년 후에는 우리와 같은 100으로 올라설 것으로 예측됐다. 기술 경쟁력은 90점에서 97.5점으로 상승한다. 중국의 통신기기는 품질 경쟁력은 90점에서 95점으로, 기술 경쟁력은 92점에서 95점으로 높아질 전망이다. 자동차의 경우 현재 품질은 80점 가격은 85점 한국보다 낮지만, 5년 후에는 90점과 95점으로 폭을 줄일 것으로 예상한다.
신산업 대응 경쟁력에서는 5년 후면 철강, 석유화학, 가전 등 다수 업종에서 우리나라와 중국간에 거의 차이가 없게 된다. 가격경쟁력은 이미 디스플레이를 제외한 모든 업종에서 우리나라가 중국에 뒤처져 있다. 다만, 5년 후에는 격차가 다소 좁혀질 것으로 예상했다. 이처럼 중국이 빠르게 우리나라를 추격할 수 있는 이유는 다양한 형태의 산업구조 고도화 정책 때문이다.
보고서는 중국의 빠른 추격이 중국의 다양한 산업구조 고도화 정책 영향으로 분석하고 있다. 중국은 작년부터 제13차 5개년 계획과 중국 제조 2025 전략 등을 통해 산업 전반의 고도화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이미 대부분 산업에서 중국의 세계 수출시장 점유율이 우리나라를 넘어섰다. 예컨대, 자동차는 우리나라가 2013년까지 꾸준히 중국보다 높은 점유율을 보였지만, 2014년 상황(중국 5.6%·한국 5.2%)이 역전됐다. 보고서는 중국과 차별화할 수 있는 신산업과 신제품 개발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규제 완화와 제도 정비 등도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