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원한 청량감과 달콤한 맛으로 갈증 및 스트레스 해소에 제격인 탄산음료가 지속적인 시장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시장조사기관인 닐슨데이터에 따르면 2014년 9,012억원이였던 국내 탄산음료 시장은 2015년 9,641억원에서 지난해에는 1조 254억원으로 규모가 커졌다.
이러한 탄산음료 시장의 성장과 함께 그 동안 탄산음료의 선택기준이 주로 맛과 향이었지만, 최근 가슴이 뻥 뚫리는 듯한 짜릿함으로 탄산음료를 즐기는 소비자들이 증가하며 탄산 강도 또한 탄산음료를 선택하는 새로운 기준으로 주목 받을 것으로 보인다. 탄산 강도는 탄산음료에 탄산 가스가 녹아있는 정도를 표시하는 단위인 탄산 가스볼륨(Gas Volume)으로 표현한다.
일반적으로 ‘트로피카나 스파클링’ 등 과일탄산음료와 ‘밀키스’ 등 우유탄산음료의 경우 2점대 탄산가스볼륨으로 ‘약 탄산음료’로 볼 수 있으며, ‘트레비’ 등 탄산수와 탄산음료의 대표격인 사이다, 콜라는 3점대 탄산가스볼륨으로 ‘중 탄산음료’, 롯데칠성음료가 지난 4월 출시한 ‘칠성스트롱 사이다’는 5.0 탄산가스볼륨으로 ‘강 탄산음료’로 세분화 할 수 있다.
약 탄산음료에서 강 탄산음료로 갈수록 함유된 탄산 가스의 양이 다르기 때문에 기포가 올라오고 톡 쏘는 맛의 차이를 분명히 느낄 수 있다. 강 탄산음료의 경우 마시는 즉시 입안 가득 짜릿함과 가슴이 뻥 뚫리는 듯한 청량감을 더 느낄 수 있는 점이 특징이다. 따라서 소비자는 상황과 기분에 따라 색다르게 탄산음료를 즐길 수 있다.
한편, 탄산 강도에 따른 분류는 다양한 제품에서 적용되고 있다. 탄산수는 ‘에퍼베센트(Effervescent)’, ‘라이트(Light)’, ‘클래식(Classic)’, ‘볼드(Bold)’로 나뉘며, 발포성 와인의 경우에도 ‘세미 스파클링(Semi Sparkling)’, ‘스파클링(Sparkling)’으로 구분한다. 탄산수 제조기 브랜드인 ‘소다스트림’도 총 3단계로 탄산 주입량을 세분화해 취향에 맞게 탄산수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롯데칠성음료는 칠성스트롱 사이다 출시와 함께 최근 짜릿하게 즐기는 강한 탄산음료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점에 주목하고 브랜드 인지도 제고를 위해 개그맨 양세형을 앞세워 SNS 이벤트를 펼치고 있다. 이벤트는 칠성사이다 페이스북에서 오는 6월 30일까지 진행되며, 칠성스트롱 사이다와 함께 3가지 도전 영상을 공유하면 경품을 증정한다.
since 1995 대한뉴스 홈페이지 http://www.daehannews.kr에서 더 많은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