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대 그룹 상장사들이 주주들에게 이익을 배당하고 남은 잉여금을 포함해 유보금이 700조원에 육박하는 역대 최대 수준으로 불어났다. 12일 재벌닷컴에 따르면 자산 상위 30대 그룹 소속 178개 상장사의 감사보고서(별도 기준) 기준 유보금은 3월 말 현재 691조 5천억원으로 역대 최대로 집계됐다. 박근혜 정부가 2015년부터 올해까지 한시적으로 도입한 ‘기업소득환류세제’가 효과를 전혀 발휘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된다. 대기업들이 이익을 투자나 고용, 주주 배당 등으로 돌려주지 않고 있는 것이다.
이들 상장사의 유보금은 2012년 말 515조 4천억원, 2013년 말 557조 7천억원, 2014년 말 602조4천억원, 2015년 말 655조원, 지난해 말 681조원 등으로 지속해서 늘어났다. 유보율도 2012년 1003.4%에서 올해 3월 말 1223.8%로 220.4%포인트나 높아졌다. 유보금은 배당금을 나눠주고 남은 이익잉여금과 자본잉여금을 합친 것이다. 최근 5년간 늘어난 유보금은 무려 176조원을 넘어섰다. 이 중 4대 그룹 상장사 유보금이 146조4천억원이나 늘어났다.
그룹별 상장사 유보금은 삼성그룹이 3월 말 219조 5천억원으로 2012년 말보다 65조원 증가했고, 현대차그룹은 121조 7천억원으로 5년 새 43조 4천억원 급증했다. SK그룹 유보금은 70조 6천억원으로 5년간 28조 1천억원 늘어났다. LG그룹은 38조 9천억원에서 9조 9천억원 늘었다. 롯데그룹과 포스코그룹은 5년 전보다 각각 5조 9천억원, 5조 2천억원 증가했고, 두산그룹과 신세계그룹은 3조 7천억원, 3조 3천억원 증가했다.
반면, 현대중공업그룹은 14조 8천억원으로 5년 새 3조 1천억원 줄었고, 대우조선해양그룹은 2012년 2조 9천억원에서 마이너스 상태다. KT그룹과 대우건설도 5년 전보다 유보금이 4천억원과 1조 1천억원 줄어들었다. 또 유보금 비율은 신세계그룹이 3월 말 현재 3830.2%로 5년 전보다 1158.5%포인트 높아져 최고 상승폭을 기록했다. 유보율은 영풍그룹이 5년간 865.7%포인트 높아져 무려 4349.6%로 30대 그룹 중 가장 높고, 롯데그룹도 4067.8%이다. 30대 그룹 계열사의 유보금은 1천조원을 넘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since 1995 대한뉴스 홈페이지 http://www.daehannews.kr에서 더 많은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