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을 2.6%에서 3%로 상향조정했다. 3년만에 성장률이 3%대를 탈환할 것으로 예측했다. 내년 성장률 역시 3%로 잡았했다. 올해 취업자 증가 수 전망치도 34만명으로 높여 잡았다. 소비자물가는 1.9% 상승할 것으로 예측했다.
25일 정부가 발표한 ‘새정부 경제정책방향’에서 정부는 올해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전망치를 3.0%로 봤다. 작년 12월 발표한 '2017년 경제정책방향'에서 2.6%로 예상했지만 7개월 만에 0.4%포인트 높여 잡았다. 정부는 세계 경제 개선에 따른 수출과 투자 회복, 11조원 규모의 추가경정예산 등 정책효과에 힘입어 성장률이 개선될 것으로 분석했다. 작년 '하반기 경제정책방향' 발표 때 올해 성장률로 3.0%를 제시했던 정부는 내수가 둔화할 것으로 전망하며 작년 12월 0.4%포인트를 낮춘 바 있다.
이찬우 기획재정부 차관보는 “논란은 있겠지만, 우리의 잠재성장률은 3% 내외라고 본다”며 “소득주도 성장과 혁신 모델을 통해 생산력을 향상하면 3% 성장도 무난히 가능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수출은 작년 11월을 기점으로 회복세에 접어들고서 지난달까지 8개월 연속 증가했다.다만 정부는 상반기 설비투자·수출 증가세가 점차 둔화하며 소비회복도 지연돼 성장 추진력은 다소 약화할 것으로 예상했다. 올해 성장률이 3%를 기록하면 3년 만에 다시 3%대 성장률을 회복하게 된다.
정부는 올해 취업자 수가 1년 전보다 34만명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다. 2016년 30만명 증가보다 4만명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1.9%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작년보다 배 가까이 상향 조정했다. 올해 경상수지는 작년 987억 달러보다 둔화한 720억 달러 흑자를 거둘 것으로 전망했다.
이를 반영핟듯 코스피가 25일 개장 직후 장중 사상 최고치 기록을 경신한 뒤 숨 고르기에 들어갔다. 개장 직후 한때 2,453.17까지 올라 지난 21일에 세운 기존 장중 사상 최고치(2,451.59)를 2거래일 만에 경신했다. 유가증권시장에서 외국인은 전날에 이어 749억원어치를 팔며 지수 상승을 막고 있다. 개인도 93억원어치를 순매도중이고 기관만 807억원어치를 사들였다. 코스닥지수는 전장보다 1.28포인트(0.19%) 내린 676.04를 나타냈다. 지수는 678.70으로 개장, 한때 679.48까지 올라 장중 기준으로 연중 최고치 기록을 새로 썼으나 약세로 돌아섰다.
since 1995 대한뉴스 홈페이지 http://www.daehannews.kr에서 더 많은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