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08 (금)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월간구독신청

사회일반

전경련, 광복 70주년 기념 한국 경제사 관련 인식조사 결과

   
▲ 한국 경제 고도성장의 원동력

전국경제인연합회가 리서치앤리서치에 의뢰한 ‘광복 70주년 기념 한국 경제사 관련 인식조사’ 결과(19세 이상 성인남녀 800명 대상), 우리나라의 고도성장을 가능케 한 가장 큰 원동력은 ‘잘 살아보겠다는 국민들의 의지(58.8%)’인 것으로 조사됐다. 다음으로 남다른 교육열에 기반한 인재양성(14.4%), 정치적 리더십과 체계적인 정부정책(11.1%), 도전과 혁신의 기업가정신(8.8%) 순으로 나타났다.

경제성장에 가장 크게 기여한 사건으로 국민들의 38.6%가 ‘새마을운동’을 꼽았고 ‘경제개발 5개년 계획(32.5%)’, ‘88올림픽(15.8%)’이 그 뒤를 이었다. 산업화 이후 한국 경제의 가장 큰 위기로는 국민들의 절반(50.0%)이 ‘1997년 IMF 외환위기’라고 답변했다. 뒤이어 ‘최근 경기침체와 저성장’이라는 응답이 33.1%를 차지해, 현재 경기에 대한 부정적 인식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다수의 국민들은 현재 우리나라 경제가 ‘중진국(40.9%)’ 또는 ‘중상위권(34.2%)’ 수준이라고 판단했다. 선진국 진입 시기를 묻는 질문에는 절반 정도의 국민이 ‘예측 곤란(48.0%)’ 이라고 응답해, 선진국 진입에 대한 전망이 불투명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한국이 나아가야 할 국가상으로는 ‘경제적으로 풍요로운 나라(43.4%)’를 가장 많이 희망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민주주의가 성숙한 나라(33.0%)’라는 답변이 그 뒤를 이었다.

우리 경제가 한 단계 도약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가장 중요한 과제로 국민들의 37.8%가 ‘청년 취업 등 일자리 창출’을 꼽았다. 다음으로 ▷경제구조 개혁(18.7%) ▷경제적 약자보호와 복지확충(16.8%) ▷부동산 가격안정(12.8%) ▷ 규제개혁을 통한 투자 및 성장 촉진(8.5%) 순으로 응답했다. 이번 조사는 광복 70주년을 맞아, 산업화 이후 한국의 경제사를 되짚어 보는 취지에서 진행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