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어실력 향상을 위해 실시하는 영어교사 해외연수제도가 일부 교육청의 경우 실효성이 낮은 것으로 드러나 제도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지적됐다. 제대로 된 해외연수를 다녀왔다면 실력이 향상되어야 함에도 불구하고, 해외 연수를 다녀온 영어 교사들이 오히려 영어 성적이 떨어지거나 예상보다 저조한 것으로 드러났다.
15일 새누리당 이종훈 의원이 교육부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광주시, 전라남․북도, 제주도교육청 등 4개 시․도 교육청 소속 영어 교사 191명이 6개월간 심화연수를 받았다. 3~5개월은 국내에서, 1∼3개월은 미국, 영국, 호주 등 해외에서 연수를 받았는데, 연수비용으로 교사 1인당 1200만∼1800만원의 비용이 투입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전국적으로 해외 연수를 받은 교사는 609명이었다.
대부분 교육청은 해외연수 이후 실시한 영어시럼에서 점수가 상승했다. 그런데 일부 영어 교사들의 영어 실력이 해외 연수 전보다 오히려 떨어진 것으로 드러났다. 제주도교육청에서 지원을 받아 해외 연수를 갔던 27명의 영어 교사 중 30%에 달하는 8명의 영어 점수가 하락했다.
또 전북교육청 소속 영어교사들은 해외 연수를 다녀온 뒤 본 토익 시험에서 990점 만점에 700점 이하 점수를 받은 영어 교사가 26명 중 10명(38.4%)에 달했다. 평균은 749점이었고, 600점대가 7명, 500점대 2명이었고, 450점을 받은 교사도 있었다. 이처럼 400점~700점 이하의 누가 봐도 영어 선생님으로서 기본적인 영어능력이 의심되는 점수보유자가 다수 있었으며, 이런 영어 교사들이 학생을 지도하기에 적절한지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이 의원은 “토익이나 기타 영어시험 성적을 가지고 일선 영어교사들의 실력을 깎아내리기에는 무리가 있지만, 상식 이하의 점수를 내는 소수의 교사들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며 “현재 해외연수제도는 이러한 교사들에 대한 제재조치 혹은 사후조치가 없다.”고 지적하고, “전폭적인 지원과 함께 객관적으로 달성해야 할 목표를 정해놓아야 한다.”고 말했다.
since 1995 대한뉴스 홈페이지 http://www.daehannews.kr에서 더 많은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