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는 맹독성 살충제인 DDT 성분이 검출된 경산과 영천 산란계 농장 닭과 계란을 모두 폐기한다고 24일 밝혔다. 영천에 있는 농장 닭 8500마리와 계란 2만여개를 이날 중 전량 폐기한다. 경산 농장 닭 4200마리와 계란 1만여개는 이미 폐기물업체를 통해 처리했다. 경북도는 동물위생시험소가 지난 21일 디클로로디페닐트라클로로에탄(DDT) 검출 달걀이 나온 경산 농장과 영천 농장에서 키우는 닭 12마리를 조사한 결과, 같은 성분이 검출됐다고 23일 밝혔다. 농장 2곳 12마리 모두에서 이 성분이 나왔다.
경북도는 해당 농장 2곳 닭과 계란을 출하 금지하고, 매일 살충제 성분 검사를 하기로 했다. 동물위생시험소는 해당 닭의 근육 부위 등에 추가로 검사하고 있다. 농촌진흥청과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은 해당 농장 토양과 물, 사료에 DDT 성분을 검사 중이다. 도는 닭이 오염된 흙에서 목욕하거나 먹이를 먹는 과정에서 DDT가 축적됐을 것으로 추정한다. DDT는 국내에서는 살충제로 무분별하게 쓰이다가 1979년부터 시판이 금지됐다. 과거 살충제로 광범위하게 사용한 DDT는 인체에 흡수되면 암은 물론 여러 이상증세를 일으키는 맹독성 물질로 알려졌다.
상황이 이처럼 악화되면서 소비자들이 대혼란을 겪고 있다. 17일 현재 총 67개 농가에서 살충제 성분이 검출됐다. 전날 7곳에서 무려 60곳이 증가했다. 게다가 전날 판매한 계란에서도 살충제 성분인 비펜트린이 검출돼 소비자 불신이 증폭되고 있다. 살충제 계란에 대한 소비자들의 불안심리는 당장 계란번호 조회로 이어지고 있다. 축산물품질평가원 홈페이지에서 살충제계란 여부를 직접 확인할 수 있는 사실이 알려지자마자 접속자가 폭주하고 있다. 홈페이지에 접속해 번호만 입력하면 즉시 확인이 가능하다. 또 계란의 생산자와 집하장, 브랜드 정보를 상세히 알 수 있다.
오프라인에서도 대혼란이 이어지고 있다. 적합 판정계란에 대해 하루만에 판매를 재개하면서 소비자들은 혼란을 겪고 있다. 이마트에 따르면 대구 7개 점포 환불건수는 16일 기준 200여건에 달하며, 17일에도 환불요구가 이어지고 있다. 대구·경북산은 안전하다고 믿었던 소비자들 역시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대규모 유통업체의 협력 농장은 전국 곳곳에 산재해 있고, 그때그때 수급상황에 맞춰 납품을 받고 있다. 이에 따라 경기도, 강원도 등지 계란 구매를 기피하고 대구, 경북산만 찾는 소비자가 급증했지만, 단 하루만에 사정이 완전히 달라진 것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판매업체 1617개소를 조사해 살충제 성분이 검출된 49개 농장의 계란 451만개를 압류하고 농가로 반품된 243만개를 폐기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압류된 계란은 163개 수집·판매업체에서 418만 3469개(92.7%), 840개 마트·도소매 업체에서 29만 2129개(6.5%), 9개 제조가공업체에서 2만 1060개(0.5%), 605개 음식점 등에서 1만 5271개(0.3%)다. 또, 9개 제조가공업체 중 3개 업체는 부적합 계란 34만 8천개를 공급받아 빵 및 알가열성형제품(훈제계란 등)을 제조해 주로 뷔페식당 또는 마트·소매점 등을 통해 판매된 것이 확인돼 소진되고 남은 제품을 폐기 조치했다고 밝혔다. 다만, 부적합 계란이 학교 급식소로 납품되지는 않았다고 덧붙였다.
이에 앞서 420개 농장에 대한 보완검사를 실시한 결과, 3개 농장에서 유통이 불가능한 살충제 계란이 검출됐다. 농림축산식품부는 21일 전수조사과정에서 검사항목이 누락된 420개 농장에 대한 보완조사를 마무리한 결과, 전북 1개, 충남 2개 등 3개 농가에서 살충제 성분인 플루페녹수론이 검출됐다고 밝혔다. 이들 3개 농가는 모두 일반 농가다. 플루페녹수론은 계란에서 검출돼선 안 되는 살충제 성분이다.
하지만 전북농가에서는 0.008ppm, 충남 농가 두 곳에서는 각각 0.0082ppm, 0.0078ppm이 검출됐다. 정부는 이들 농가에 대해 부적합 판정을 내렸다. 농식품부는 추가 보완검사를 통해 확인된 부적합 3개 농가는 검출 확인 즉시 출하중지를 했으며, 3개 농장의 유통물량을 추적조사해 전량 회수 및 폐기 조치할 방침이다. 이날 살충제 성분이 검출된 농장이 3곳 추가되면서 부적합 판정을 받은 농가는 총 52개(친환경 농가 31개·일반 농가 21개)로 늘었다.
한편, 정부가 계란에서 살충제 성분이 검출된 7개 농장의 난각 코드에 또다시 오류가 있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정부가 살충제 성분이 검출된 농가의 계란 식별번호(난각코드)를 여러 차례 수정해 혼선을 빚은 가운데, 7개 농장의 난각 코드를 이날 또 정정했다. 농림축산식품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식약처에서 전수조사 및 보완검사 결과 부적합 판정을 받은 농가 52곳 가운데 7개 농장의 난각 코드가 잘못 발표됐다고 밝혔다. 식약처는 난각 표시를 하는 데 별도의 등록절차는 없으며, 농가에서도 표시를 할 수 있기 때문에 같은 농가에서도 여러 수집판매업체에 납품하면서 여러 개의 서로 다른 난각코드가 찍혔던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계란 안전관리대책을 발표하면서 “판매되는 모든 계란은 식용란선별포장업(GP)을 통해 수집·판매되도록 의무화하고, 안전검사 거점으로 활용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현재 계란의 난각에는 현행 4가지 표시방법을 고유번호 1가지로 표시하도록 개선한다. 우선, 식약처는 동물용 약품을 철저히 관리해 농장 HACCP 평가항목에 살충제 관련항목을 추가하고, 사후관리를 강화한다. 축산물 잔류허용기준을 인체에 안전한 수준으로 엄격하게 설정하고, 동물용 약품 사용관련 잔류물질검사도 강화해 지자체와 합동으로 연 4회 실시할 계획이다. 아울러, 개선된 난각 고유번호를 식품의약품안전처와 농림축산식품부 홈페이지에서 제공할 예정이다. 계란에 대한 소비자 정보제공 강화를 위해서 난각에 생산년월일을 표시하도록 하며, 계란의 난각 표시에 대한 지도·감독을 강화하고, 위반시 처벌도 강화한다.
since 1995 대한뉴스 홈페이지 http://www.daehannews.kr에서 더 많은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