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재인 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18일 광주 북구 운정동 국립5·18민주묘지에서 열린 제37주년 5·18민주화운동 기념식. 올해 기념식은 정부 주요 인사를 비롯해 1만여명이 참석, 역대 최대 규모로 개최됐다. 애국가와 함께 ‘임을 위한 행진곡’을 모두 제창했다. 문 대통령이 취임 직후 내린 업무지시에 따라서다.
▲ 강남역 인근 여성 살해 1주기인 17일 서울 세종문화회관 앞에서 한국여성단체연합 등 여성·인권·시민사회단체가 연 기자회견에서 참가자들이 ‘여성을 혐오하는 성차별적 사회구조와 문화를 개선할 대책 마련 등을 촉구’하는 현수막을 들고 있다.
▲ 20일 정식 개장한 서울역 고가 보행길 '서울로 7017'에서 열린 서울로 365 패션쇼에서 모델들이 런웨이를 걷고 있다.
▲ 15일 ‘슈즈 트리’ 설치 작업을 하고 있다. 10만 개 신발로 진행되는 이 작업은 서울로 개장과 함께 공개됐다. 그러나 슈즈트리의 모습이 SNS 등을 통해 공개되면서 ‘흉물스럽다’, ‘불쾌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 23일 전북 전주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2017 국제축구연맹(FIFA) 20세 이하(U-20) 월드컵 조별리그 A조 대한민국과 아르헨티나의 경기. 2-1 승리를 거두며 16강 진출을 확정 지은 한국 선수들이 붉은 악마 응원단 앞에서 세리머니를 하고 있다.
▲ 24일 충북 제천시 농업기술센터 논에서 제천시와 농민단체 관계자들이 손으로 모를 심는 전통 방식 모내기를 하고 있다. 제천시 사진 제공
불조심 ▲ 5월 8일 강원 강릉시 성산면 보광리에서 재발한 산불이 울창한 산림을 집어삼키고 있다. 산림·소방당국은 9일 나흘째 산불의 기세가 이어지는 삼척과 강릉지역에 헬기와 인력을 투입해 진화에 나섰다. 한편, 산불로 인한 피해는 보험적용이 되지 않아 산림재해보험을 도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 5월 3일 부산 해운대해수욕장에서 나들이객들이 더위를 식히며 휴일을 만끽하고 있다.
유일호 부총리는 5월 6일부터 7일까지 일본 요코하마에서 개최된 제50차 아시아 개발은행(ADB) 연차총회에 참석하였다. 이번 연차총회에는 67개 ADB 회원국 거버너를 비롯한 정부대표단, 국제금융 관계자, 학계, 기업인 등 6천여명이 참석하여 개회식, 거버너 총회, 부대행사 등 다양한 프로그램에 참여하였다. 나카오 ADB 총재는 개막 연설을 통해 아시아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 기반시설 투자가 여전히 중요한 과제임을 강조하면서 ADB가 새로 마련중인 ‘전략2030’에도 민관협력사업의 효율적 활용, 선진기술 결합을 통한 관리비용 감축 등 기반시설 투자가 중점적으로 논의될 것이라고 언급하였다. ADB는 이번 연차총회를 통해 2016년 연차보고서(사업성과)와 재무제표, 2017년 예산안 등을 확정하였다. 이번 총회에서 보고된 바에 따르면, ADB는 16년 동안 총 317억 달러를 지원했다. 또한, 거버너 총회세션에는 전체 회원국의 거버너들이 참석해 아시아의 번영을 위한 공조방안, ADB의 역할 등에 대한 각국의 입장을 공유하였다. 유일호 부총리는 이 세션에서 거버너 연설을 진행하였다. 유 부총리는 아시아 번영과 빈곤감축 과정에서의 ADB의 공로를 강조하면서도,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준식)는 유네스코(UNESCO), 한국교육학술정보원(원장 한석수)과 함께 ‘2017 아시아·태평양 지역 ICT 교육장관 포럼’을 5월 11일부터 12일까지 양일간 서울 그랜드하얏트 호텔에서 개최했다. 2017 유네스코 아태 ICT 교육장관 포럼은 46개 아태지역 회원국 교육장관들이 모여 교육정보화 정책을 논의하는 포럼으로써 2010년 태국, 2011년 필리핀, 2012년 태국, 2013년 중국에 이어, 4년만에 대한민국 서울에서 개최되는 것이다. 이번 포럼은 ‘모두를 위한 ICT 활용 평생학습사회’라는 주제로, 아시아·태평양 국가들이 교육정보화를 통해 유엔의 지속가능개발 교육목표(SDG4) 달성을 위한 ‘아태 지역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것이다. 이번 포럼에는 29개 회원국 교육부장관·차관 15명을 비롯한 총 120여명이 참석했다. 5월 11일에는 기조연설, 본회의, 장관급 라운드 테이블 토론 및 지역 전략 수립이 진행됐고, 12일에는 한국의 교육정보화 현장방문과 전문가 국제 세미나 프로그램으로 진행됐다. 세부적으로 5월 11일 오전에는 스탠퍼드대학교 교육대학원 부학장인 폴 킴이 기조연설을 하고, 본회의에서는 ‘UN 지속가능개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