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웅진씽크빅과 함께 남녀직장인 1,013명을 대상으로 직장 사춘기 경험에 대해 조사한 결과, 94.4%가 ‘있다’고 답했다. 이러한 답변은 남성 직장인(92.8%) 보다는 여성 직장인(95.7%)이 조금 더 높았다. 직장 사춘기가 처음 찾아온 시기는 ‘신입직 입사 후 1년차’ 때라는 직장인이 33.2%로 가장 많았다. 이어 ‘1년 미만’ 때 직장 사춘기를 겪었다는 직장인도 27.9%로 많았다. 입사 후 3년이내 직장 사춘기를 겪었다는 직장인이 95.4%, 4년이내 직장 사춘기를 겪었다는 직장인이 99.1%로 대부분의 직장인들이 입사 후 3~4년이내에 직장 사춘기를 겪었던 것으로 집계된다. 실제, 직장인들은 입사 3년차 때가 앞으로 직장생활의 방향을 결정하는 중요한 시기라 답했다. ‘입사 3년차가 앞으로 직장생활의 방향을 결정하는 골든타임이라고 생각하는가?’라는 질문에 전체 응답자 10명 중 약 8명에 달하는 76.5%가 ‘그렇다’고 답했다.
‘의욕이 떨어지는 무기력증을 겪었다’는 직장인이 응답률 66.3%로 가장 많았다. 이어 ‘지독하게 출근하기 싫었다(54.5%)’ 거나 ‘업무 스트레스가 높아졌다(48.4%)’는 직장인이 많았다. 이외에는 ▲인생에 대한 회의가 들었다(25.5%) ▲사직서를 쓰고 이직을 준비했다(23.1%) 는 답변이 있었다. ‘이 일이 내 적성에 맞는 걸까?(57.0%)’ ‘이 회사에 나의 미래가 있을까?(56.9%)’라는 고민을 가장 많이 한다고 답했다. 또 ‘내가 생각하는 인생은 이런게 아닌데(45.9%)’라거나 ‘어떻게 살아야 하나(31.3%)’, ‘내가 하는 일에 비해 연봉이 작지 않나?(28.7%) 라는 고민을 하는 직장인도 상대적으로 많았다.
직장인 중 이를 잘 ‘극복했다’고 답한 직장인은 41.8%에 그쳤다. 이들은 극복 노하우 1위로 ‘시간’을 꼽았다. 조사결과 ‘시간이 지나니 자연스럽게 극복됐다’는 응답자가 58.0%로 과반수이상으로 가장 많았다. 이외에는 ▲친한 지인들을 자주 만나 스트레스를 풀었다(38.8%) ▲사직서를 냈다(34.3%) ▲취미를 만들어 규칙적으로 취미생활을 했다(34.0%) ▲자기계발을 더 열심히 했다(34.0%) 순으로 조사됐다. 특히, 다양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10명중 3명에 이르는 34.3%가 ‘사직서를 냈다’고 답해 눈길을 끌었다.
유명한 명언들 중 입사 3년차에게 해주고 싶은 말로 직장인들은 ‘모두가 내 맘 같기를 바라는 건 대단한 착각이다(지젝)’을 1위(36.2%)로 꼽았다. 이어 ▲그냥 잘 하는 것은 소용없다. 탁월하게 잘하라-베르그송(17.1%) ▲조직의 언어를 이해하라. 그리고 이를 적극 활용하라-비트겐슈타인(17.1%)’ 순으로 답했다.
since 1995 대한뉴스 홈페이지 http://www.daehannews.kr에서 더 많은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