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포털 잡코리아(대표 윤병준)는 직장인 1,381명을 대상으로 ‘경조사비 지출’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한 달에 평균 12만 원가량을 경조사비로 지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 월 평균 16만원에서 약 4만원이 줄은 액수였다. 직장인들에게 한 달 평균 11.9만원(*주관식 기재)을 지출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성별로 살펴보면 남성이 13.3만원으로 여성(11.0만원)에 비해 평균 3.3만원을 더 지출하고 있었다. 40대 이상이 14.2만원(30대 12.4만원, 20대 10.3만원)으로 가장 많은 금액을 경조사비에 쓰고 있었다. 미혼자의 경우 월 평균 10.6만원을 지출하는 데 비해 기혼자는 월 14.6만원을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나 평균 4만원을 더 지출하고 있었다.
10~15만원 미만이 34.8%로 가장 많았고, 5~10만원 미만이 31.4%로 그 뒤를 이었다. 월 평균 20만원 이상을 경조사비로 쓰는 직장인도 19.5%에 달했다. 2014년에 월 평균 16.0만원을 지출한다고 답한 바 있다. 2년 새 직장인들이 지출하는 월 경조사비가 평균 4만 원가량 감소한 것. 한 달에 평균적으로 참석하는 경조사 횟수가 2014년 2.1회에서 2016년 1.8회로 별 차이가 없었던 것과는 대조적이다.
‘초청을 받았을 때 가고 싶지 않은 경조사가 있는지’를 물었을 때 94.4%가 ‘가기 싫은 경조사가 있다’고 답했다. 가장 가고 싶지 않아하는 경조사는 ‘갑자기 초대하는 결혼식이나 돌잔치(53.7%)’가 꼽혔다. 이는 2위를 차지한 ‘내 경조사에는 얼굴도 비추지 않은 사람에게서 초대받은 경조사(24.9%)’의 2배가 넘어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다. 3위는 ‘거래처, 직장상사의 친인척 등 참석이 업무인 것처럼 느껴지는 경조사(11.2%)’가, 4위는 ‘너무 멀거나 교통이 불편한 곳에서 치러지는 경조사(6.5%)’가 각각 차지했다. 즉 ‘적당한 핑계를 동원해서 참석하지 않는 쪽으로 한다(54.5%)’, ‘그냥 모르는 척 참석하지 않는다(11.6%)’ 등 직장인의 66%가 가기 싫은 경조사 초대에는 참석하지 않는 쪽을 선택한 것. ‘되도록 참석하는 쪽으로 한다(26.9%)’와 ‘그래도 억지로라도 참석한다(7.2%)’는 약 34%에 그쳤다.
그럼에도 축의금이나 부의금 등 경조사비를 지출한다는 응답은 약 80%에 달했다. 잡코리아 설문에 참여한 직장인의 79.5%가 ‘가기 싫은 경조사에 초대받았어도 경조사비는 지출한다’고 답했다.
since 1995 대한뉴스 홈페이지 http://www.daehannews.kr에서 더 많은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