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6.29 (일)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월간구독신청

교육/노동

잡코리아X알바몬, 취준생 10명 중 8명 대학 서열화 실감


 
취업포털 잡코리아(대표 윤병준)와 알바몬이 신입직 취준생 478명과 인사담당자 252명을 대상으로 ‘대학 서열화’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신입직 취준생 10명 중 8명은 취업을 준비하며 대학 서열화를 실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취준생 88.3%가 취업을 준비하며 대학 서열화를 실감하고 있다고 답했다. 또 취업에서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항목을 묻는 질문에도, ‘업무 관련 경력(38.5%)’에 이어 ‘학벌(출신 학교 등)(33.7%)’이 2위를 기록해 눈길을 끌었다.
 
출신 대학이 취업에 영향을 준다고 생각하는지 묻자 86.8%의 응답자가 그렇다고 답했다. 그 이유로 ‘주요 대학 출신을 선호하는 사회적 분위기(55.9%)’와 ‘4년제 대학 졸업 등 채용공고에 학력 자격요건을 명시하는 기업이 있어서(53.7%)’, ‘실제로 주요 대학 출신 지인들의 취업 성공률이 높아서(32.0%)’ 등을 꼽았다. 향후 대학 서열화가 지속될 것이라 생각하는지 묻자 78.9%의 취준생이 ‘대학 서열화가 지속될 것’이라 답했다. 대학 서열화가 사라질 것이라는 답변은 21.1%로 취준생 5명 중 1명 꼴이었다.
 
대학 서열화가 지속될 것이라 생각하는 이유를 묻자, ‘대학서열화를 모르는 10대, 20대가 없을 정도로 사회적으로 만연해서’라는 답변이 73.5%의 응답률로 압도적인 1위를 차지했다. 다음으로는 ‘주요 대학 출신을 선호하는 사회 분위기(46.7%)’, ‘평준화 돼 변별력을 잃은 스펙 대신 출신 학교가 중요해 질 것 같아서(28.6%)’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대학 서열화가 사라질 것이라 답한 응답자들은 그 이유로, ‘인턴 경험 등 직무능력을 중시하는 분위기가 확산되고 있어서(89.1%)’,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탈스펙 전형 등이 확산돼서(36.6%)’ 등을 꼽았다.
 
이처럼 다수의 취준생들이 대학 서열화를 실감하고 있는 가운데, 잡코리아가 인사담당자들을 대상으로 채용과 대학 서열화간 상관관계를 조사했다. 인사담당자들에게 ‘지원자의 출신 학교가 채용에 영향을 주는지’ 묻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답변이 56.7%를 기록했다. 세부적으로는 ‘참고만 하는 항목으로 채용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답변이 46.0%, ‘채용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답변이 10.7%를 기록했다.
 
신입사원 채용 시 가장 중요하게 보는 항목을 묻는 질문에도(*복수응답), ‘인성(47.6%)’, ‘적극적인 태도 및 성향(44.8%)’을 중요하게 본다는 답변이 상위권을 기록했다. 반면 학벌(출신 학교 등)을 중요하게 본다는 응답은 14.7%로 업무 관련 경력(29.8%), 전공 및 학과(23.4%)에 이어 5위를 기록해 눈길을 끌었다.



since 1995 대한뉴스 홈페이지 http://www.daehannews.kr에서 더 많은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