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광덕 경기 남양주시장은 2025년 새해 "100만 도시의 위상에 맞는 자족기반 구축이라는 목표를 현실화하겠다"고 강조했다. 주 시장은 올해를 남양주 신산업생태계 대전환의 원년으로 삼겠다는 비전을 세웠다. 우선 남양주 교통혁명의 속도와 완성도를 높여 진정한 ‘수도권 교통 허브도시, 남양주’를 완성한다. 주 시장은 "인구 100만 메가시티 남양주가 맞이할 변화에 대응하고 남양주의 슈퍼성장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광역 교통망 확충과 효율적인 내부 연결망 구축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지난해 착공한 GTX-B사업은 2030년 개통을 목표로 올해부터 본격적인 토지보상절차가 진행될 예정이다. 국가 정책에 따른 전략적 대응을 통해 GTX 신규노선 D·E·F·G노선의 속도감 있는 추진에도 주력한다. 아울러 지난해 말 기본계획 승인이 완료된 9호선 연장사업의 2026년 착공과 경춘선과 수인분당선 직결사업 추진 또한 행정력을 집중한다. 또한 미래 100만 시민을 책임질 경제력을 갖춘 ‘미래 첨단산업 도시, 남양주’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주 시장은 "100만 메가시티로의 도약과 슈퍼성장 견인을 위해 ‘살고싶은 도시’, ‘투자하고 싶은 도시’ 남양주를 목표로 도시의 가치를 높이는
남양주시(시장 주광덕)는 다산생태공원(조안면 능내리)에 정약용의 철학과 정원 관을 담은 '정약용 정원'을 올해 9월까지 조성할 계획이라고 16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정약용의 실용적이고 자연 친화적인 사상을 기반으로 한 정원을 조성해 역사적 의미를 되새기고, 지역 관광 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해 기획됐다. 시는 '제황산유인첩', '다산화사', '죽란화목기' 등 정약용의 저서 등을 참고해 ▲수국원 ▲죽란원 ▲다원 ▲국화원 ▲약초원 등 다섯 가지 테마로 정원을 조성할 계획이다. 특히, 시는 올해 다산정약용 문화제가 열리는 시기에 사업을 완료해 시민과 관광객들이 정약용의 철학과 자연미를 느끼고, 이를 통해 지역 경제 활성화를 도모할 예정이다. 주광덕 시장은 "남양주시는 정약용의 생가와 묘소가 있는 정약용의 고향으로, 이번 사업은 정약용 선생이 생전에 거닐던 공간인 다산생태공원을 그의 철학과 자연을 융합하는 의미 있는 프로젝트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정약용정원 조성을 통해 다산생태공원은 정약용 유적지와 연계돼 더욱 풍성한 관광 명소로 거듭날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산생태공원은 팔당호에 소재한 생태·역사·문화가 어우러진 수변공원으로, 정약용 유적지와 실학박물관, 마재
(경기지방국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1일 수원시 팔달구 인계동 수원현충탑을 찾아 분향했다. 김 지사는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 상황 점검 등을 위해 취임식을 취소하고 민선 8기 임기를 시작했다.
16일 방역당국에 남양주시 진접읍 소재 한 요양병원에서 지난 11일 종사자 1명이 지방에서 코로나 19로 확진된 뒤 전날까지 이용자와 직원, 간병인 등 52명이 무더기로 확진 판정을 받았다. 이날도 환자 8명과 직원 1명 등 9명이 추가로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고 돌파감염 사례까지 합쳐 이 요양병원 관련 누적 확진자는 80명으로 늘었다. 60대 중국 국적 간호인이 지난 7일 서울에서 확진 통보를 받은 사실을 숨기고 해당 요양병원에 취업한 것으로 드러났다. 간호인은 요양병원 취업에 앞서 지난 5일 서울 영등포보건소에서 코로나19 진단검사를 받고 이튿날 음성 통보를 받았다. 그러나 음성 통보를 받기 전인 6일 "검사결과가 빨리 나오지 않는다"며 다시 받은 진단검사에선 양성 판정이 나왔고, 영등포보건소는 7일 전화로 확진 사실을 통보했다. 이후 보건소 직원이 역학조사를 위해 전화를 했을 때 그는 휴대전화를 끄고 잠적했고 확진 판정을 받기 전 받았던 '음성 통보서'를 이용해 남양주시 요양병원에 취업한 것으로 확인됐다. 해당 간병인이 연락을 다시 받은 것은 지난 12일, 통화과정에서 그가 요양병원에서 일하고 있는 것을 파악한 영등포보건소는 해당 요양병원과 남양주
인천광역시(시장 박남춘)는 보건환경연구원(원장 권문주)에서 관내 산란계 농장에서 생산되는 계란에 대한 유해잔류물질 및 살모넬라균 전수 검사를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닭진드기가 많아지는 여름철을 대비해 5월 24일부터 8월 말까지 인천 전체 산란계 농장의 계란 검사를 추진하며 현재 계란을 생산하고 있는 산란계 농가 12개소(남동구 2, 계양구 1, 강화군 8, 옹진군 1)가 그 대상이다. 또한 메추리 농가 4개소의 메추리알도 추가해 검사를 진행할 계획이다. 검사는 미생물 중 살모넬라균과 잔류물질(항생물질 43종 및 살충제 34종)에 대해 실시하고, 부적합이 발생하는 경우 농장 정보를 공개하고, 계란 출고를 중지시킴과 동시에 이미 출하된 계란을 회수, 폐기한다. 또한 해당 농장을 잔류위반농장으로 지정하고 계란 출고 시 검사를 진행함으로써 부적합 계란이 유통되지 않도록 안전에 전력을 기울일 예정이다. 한편 인천시에서 2017년 계란에서 살충제 부적합이 한 건 발생한 이후 보건환경연구원에는 매년 인천 생산 계란에 대해 전수검사를 해왔으며 2018년부터 현재까지 전 건 적합이었다. 산란계 농장의 계란 전수검사가 끝난 후에는 관내 유통되는 계란에 대해서도 검사를 진행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