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26 (금)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월간구독신청

환경/인권/복지

환경부, 동북아 3국, 기후위기 넘어 녹색미래 함께 연다

제26차 한중일 환경장관회의, 9월 27~28일 중국 옌타이에서 개최

(대한뉴스 한원석 기자)=환경부(장관 김성환)는 9월 27일부터 28일까지 중국 산둥성 옌타이에서 열리는 ‘제26차 3국 환경장관회의(TEMM26)’에 참석하여 기후위기 대응, 플라스틱 오염 저감 등 동북아의 주요 환경 현안을 논의하고, 제4차 공동행동계획(2026~2030)을 채택한다고 밝혔다.
 

이번 회의에는 김성환 환경부 장관, 황룬치우 중국 생태환경부 장관, 아사오 게이이치로 일본 환경성 장관이 참석하며, 27일 한·일 양자회담을 시작으로 28일 한‧중 양자회담, 본회의와 공동기자회견, 다양한 부대행사가 이어진다.

 

3국 환경장관회의는 1999년 우리나라의 제안으로 출범해 매년 3국이 교대로 개최해온 동북아 대표 환경협력체이다.

 

이 회의는 지난 27년 동안 △미세먼지 등 대기질 개선, △따오기 복원과 같은 생물다양성 보전, △환경표지 공통기준 마련 등 지역 환경현안 개선을 통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성과를 거둬왔다.

 

이번 회의에서 채택될 제4차 3국 공동행동계획(Tripartite Joint Action Plan)은 기존 8개 협력 분야를 환경질 개선, 무탄소 녹색성장, 환경복지 등 3대 목표로 재구성하고, 기후위기 정책대화와 탄소표지(라벨링) 협력 강화, 플라스틱 오염 대응, 생활환경 개선 등을 새롭게 포함한다.

 

회의와 함께 다양한 부대행사도 개최된다. 3국 청년대표 15명이 참여한 청년포럼에서는 ‘기후회복력 있는 지역사회를 향한 청년 역량강화’를 주제로 토론이 진행된다.

 

이번 ‘제26차 3국 환경장관회의’ 기간에 맞춰 우리나라 환경부와 중국 산둥성 간 환경협력 20주년을 기념하는 행사도 열린다.

 

이번 기념행사는 양측의 지난 20년간 협력 성과를 공유하고, 기후변화 대응과 녹색산업 교류 등 미래 협력 방안을 논의한다.

 

지난 20년간 양측은 우리나라의 대기오염 방지기술을 활용한 실증사업으로 산둥 지역의 대기질 개선을 이끌었으며, 폐기물 및 수처리 분야의 교류와 다수의 수출계약, 기업 간 협력, 정례 협의회(한-산둥성 환경보호협력실무위원회)를 통한 환경정책 공유 및 공동연구 추진 등 다양한 실질적 성과를 거두었다.

 

이번 기념행사에는 김성환 환경부 장관과 저우나이샹 산둥성 성장(중국 지방 정부의 주석격) 등 양측 고위 인사가 참석하며, 축사와 정책 소개, 환경협력 20주년 기념 양해각서(MOU) 체결식이 진행된다.

 

20주년 기념 양해각서에는 환경 실무협력, 대기오염 방지, 탄소제로 섬 조성, 국제환경협약 이행 경험 공유, 환경산업 협력, 환경분야 민간교류 지원 등이 포함되어 향후 양측간 협력의 폭과 깊이가 한층 확대될 전망이다.

 

아울러, 김성환 장관은 27일에 산둥성의 대표 청정에너지 사업인 완화화학-허하이 종합 스마트에너지 신규사업 현장을 방문하여 탄소중립 분야 협력 방안을 모색한다.


해당 사업은 폐열 회수와 에너지 효율 향상을 통해 연간 286만 톤의 이산화탄소 감축 효과를 내는 모범사례로 꼽히고 있다.

 

김성환 환경부 장관은 “한중일은 같은 하늘과 같은 바다를 맞대고 살아가는 이웃으로서, 이제는 기후위기라는 인류적 도전에 맞서 녹색미래를 함께 열어야 한다”라고 밝혔다.

 

아울러 “한·산둥 협력은 지난 20년간 대기오염 저감과 녹색산업 교류 등 실질적인 성과를 거둔 지역협력의 모범적 사례”라며, “이번 20주년을 계기로 앞으로 기후위기 대응, 녹색산업 협력, 순환경제 생태계 조성 등 탈탄소 녹색 문명 발전을 위한 미래지향적 협력을 더욱 강화하겠다”라고 덧붙였다.

프로필 사진
한원석 기자

'정직,정론,정필'의 대한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