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리혼식 및 분식 장려 작문, 포스터, 표어 당선자 시상식 (67. 10. 6.).
제33회 전국체육대회에서의 입장식 광경 (52. 10. 18.).
평양 김일성광장에서 열린 국군 평양입성 환영대회 (50. 10. 31).
비상계엄령이 내려진 서울 광화문 앞 (72. 10. 18.). 1972년에는 10월 유신 선포와 함께 계엄령이 내려졌다(1972. 10. 17~12.13). 계엄령은 국가 비상사태에서 군사력을 이용하여 사법과 행정을 유지하는 긴급조치이다. 한국의 <계엄법>은 1949년 11월 24일 제정됐으며, 2016년까지 10번의 개정을 거쳤다. 1948년 8월 15일 정부수립 후 19회의 비상계엄과 7회의 경비계엄이 선포됐다. 비상계엄은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해 영장제도, 언론·출판·집회·결사의 자유와 정부 및 법원에 관해 특별한 조치를 할 수 있으며, 경비계엄은 계엄사령관 지역 내의 군사에 관한 행정·사법 업무만을 관장한다.
속리산 법주사 팔상전 복원 준공식 (69. 10. 8.). 1969년 10월 8일 국보 제55호인 법주사 팔상전 복원 준공식이 거행됐다. 팔상전은 충북 보은군 속리산의 법주사 내에 있는 5층 목탑이다. 높이 22.7미터로 우리나라 탑 가운데 가장 높으며, 현존하는 유일한 목조탑이다. 신라시대에 창건, 임진왜란 때 전소되었던 것을 선조 38년(1605년)에서 인조 4년(1626년)에 걸쳐 재건했다. 1968년 시작된 해체·복원공사 중에 발견된 사리함 구리판 안쪽에 임진왜란 때 불탄 것을 새로 중건했다는 기록이 발견됐다. 팔상전은 내부에 석가여래의 일생을 여덟 장면으로 나타낸 팔상도가 있다.
제1한강교에서 영등포에 이르는 한국 최초의 유료고속도로인 한강변도로 개통. 요금은 버스 30원, 택시 20원, 오토바이 10원이었다.
도시가 확장되기 전의 서울시 전경으로, 서울시내가 남산과 인왕산 및 북악산 안에 갇혀 좁아 보인다.
제1회 전국통신경기대회에 참석한 인사들과 경기에 열중하고 있는 대회 참가자들.
제8회 전국아동예술대회에서의 미술부 실기장 모습이 사뭇 진지하다.
태풍 사라(SARAH)는 열대저기압 등급 중에서 가장 높은 ‘카테고리 5급’까지 발달했던 태풍으로, 추석기간인 9월 15일~18일에 한반도 중부와 남부를 강타해 당시 사회에 큰 상처를 남겼다. 사라호 태풍으로 인한 사망 및 실종 849명, 부상 2천533명, 이재민 37만3천459명으로 역대 세 번째로 많은 인명 피해가 났다. 또한 선박피해 9천329척, 경작지 유실 21만6천325정보 등 막대한 재산피해도 입었다. 태풍 사라로 인해 철교가 붕괴되자 새끼줄로 침목을 묶어놓고 편도로 화물객차가 운행되고 있는 모습이 당시 우리가 얼마나 열악했던 지를 보여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