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13 (월)

  • 맑음동두천 24.2℃
  • 맑음강릉 23.7℃
  • 맑음서울 23.9℃
  • 맑음대전 24.0℃
  • 맑음대구 24.4℃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25.2℃
  • 맑음부산 22.2℃
  • 맑음고창 21.7℃
  • 맑음제주 20.5℃
  • 맑음강화 20.5℃
  • 맑음보은 23.6℃
  • 맑음금산 23.3℃
  • 맑음강진군 24.6℃
  • 맑음경주시 23.8℃
  • 맑음거제 23.0℃
기상청 제공
월간구독신청

생활문화 일반

우리 옷의 아름다움과 예절

10월 16일 ‘제4회 충·효 우리의 멋 한복대회’에 앞서 알아보는 예절

한복의 형태와 구조는 수많은 시간을 거쳐 오면서 당시의 산업구조와 생활문화, 미의식에 따라 변화되어 왔다. 지금은 풍성한 곡선의 실루엣을 특징으로 하는 조선시대 후기의 양식을 우리의 전통한복이라고 한다. 우리 옷의 기본형은 고구려 고분벽화를 통해 알 수 있듯이 바지저고리와 포(袍)를 기본으로 한 채 저고리의 길이, 옷고름의 길이와 넓이, 소매 배래선의 곡선 등 부분적인 변화를 거쳐 우리 옷의 아름다움을 완성하여 왔다. 한복을 입었을 때 조심해야 할 것과 인사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문화체육관광부 <우리 옷으로 멋내기>에서 발췌

 

   
▲ 제2회 한복대회에서 아버지에게 절하는 모습을 시연하고 있다.

 

우리 옷의 아름다움

우리는 우리 옷 한복을 입으면 언행에 예의를 갖추게 된다. 예의범절을 바탕으로 지극히 절제된 행동과 언어에는 누구도 함부로 할 수 없는 위엄이 있고, 그 위엄 뒤에 보일 듯 말 듯 숨어 있는 긴장감은 삶의 품위와 깊이를 더해준다.

이처럼 우리 옷 한복은 옷의 아름다움과 지극히 절제된 언행의 조화 속에서 아름다움의 극치를 이룬다.그것은 우리의 전통복식 문화가 바로 예의를 바탕에 두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우리 옷의 아름다움과 멋을 완성시키기 위해서는 옷을 입는 격식과 그에 따른 예절을 함께 익혀야 하며, 여자는 속바지와 속치마 등 속옷을 제대로 입었을 때 옷의 맵시를 한결 더 살릴 수 있다.

인사법

인사는 많은 예절 가운데서도 가장 기본이 되는 것으로 마음속에서 우러나오는 상대에 대한 존경과 반가움의 표현이다. 절의 종류에는 선절[立禮]과 앉은절[坐禮]이 있으며, 선절은 현대생활에서, 앉은절은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인사방법이다.

- 공수법[拱手法]

어른 앞에서는 손을 마주잡고 약간 높이며 받드는 자세가 예의다. 평상시에 남자는 왼손을 위로, 여자는 오른손을 위로 한다. 흉사시(부모님의 상을 당해 졸곡에 이르기까지의 기간)에만 남자는 오른손이 위로 여자는 왼손을 위로 한다.

- 선절(立禮:서서하는 절)

인사말은 상체 숙여 인사한 후 상대의 얼굴을 보며 하는 것이 예의다. 큰경례는 선절에서 가장 정중한 인사로서 상체를 45°이상 굽히고 머리는 숙이지 않는다. 의식때나 애사[哀事]시에 한다. 평경례는 일상생활에서 가장 많이 행하는 방법으로 상체를 30°정도 숙인다. 윗사람이나 직장의 상사에게 아침 저녁으로 하는 인사방법이며, 대인관계에서도 경우에 따라 행한다. 반경례는 동료나 아랫사람과의 인사에서 답례로도 한다. 상체를 15°정도 숙인다.

- 앉은절(坐禮)

앉은절은 우리나라의 특색있는 인사방법으로 평상시 어른에게나 서로 간에 나누는 평절과 의식 때 하는 큰절이 있고 절을 받고 하는 답례절이 있다. 앉은절은 절을 하고 난후에 다시 앉아서 인사말을 나누는 것이 예의다.

세배하기

세배를 하고 나서는 인사말을 하지 않는다. 세배는 정월 초하룻날 서로서로 존경하며 안녕을 기원하는 우리의 미풍양식이다. 따라서 아랫사람이 세배를 하면 어른은 덕담으로 답례를 하는 것이다.

이것만은 주의해 주세요!

1. 가급적 구두를 신지 않는다.

2. 가방을 어께에 매거나, 큰 것은 어울리지 않는다.

3. 머리를 풀어 늘어뜨리지 않는다.

4. 목걸이를 하지 않는다.

5. 저고리 속에 목이 올라오는 옷을 받쳐 입지 않는다.

6. 남자의 경우 실내라 하더라도 바지저고리만 입는 것은 예가 아니다. 예를 갖추거나 외출을 할 때에는 반드시 두루마기를 갖춰야 하고 집안에 거처할 때는 배자나 조끼와 마고자를 입는다. 여자는 치마저고리만 입어도 결례가 아니다.

7. 목도리는 방한용이므로 예를 갖출 때나 실내에서는 벗는다.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