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4 (토)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월간구독신청

지자체 일반

연변소식 - 간도일본총령사관

   
 

1904년 1월, 영국의 조종 밑에 발동한 일로전쟁은 러시아의 실패로 끝났다. 전승국인 일본은‘포츠머스강화조약’에 따라 료동반도 조차권과 장춘으로부터 대련에 이르는 남만철도를 러시아의 손에서 빼앗아낸다. 동시에 조선에 대한 통치권을 빼앗아 조선을 자기의‘보호국’으로 만든다. 조선이‘보호국’으로 되자 조선의 가난한 농민들은 살길을 찾아 연변지구에 들어왔다. 통계에 의하면 광서말년에 연길현 경내에 들어와 거주한 조선족은 12,950호에 65,855명에 달하는 바 당시의 만족과 한족보다 15,000여 명이나 더 많았다. 1904년에 룡정에 거주한 조선족은 96호에 400여 명밖에 안되였으나 1909년에 이르러서는 230호에 15,00여 명으로 늘어났다.

   
 

  1906년 11월 18일, 참정대신 박제순은 조선주재 일본통감 이또에게 일본정부에서 관리를 파견하여 간도에 거주하는 조선인들의 생명재산을 보호해줄 것을 청구했다. 그러자 이또는“오냐, 내가 바라던 일이다.”고 하면서 이듬해에 연변에다‘조선통감부림시간도파출소’를 설치한다. 그리고 사이또 스에지로와 시노다를 각각 정, 부 조장으로 임명하고 8월 23일부터 사무를 보게 한다. 사이또와 시노다는 연변에서 오래동안 간첩활동에 종사해온 자들이다. 사이또는 일본륙군중좌로서 국자가에서 약방을 차리고 간첩활동을 해왔기에 연변의 사정을 누구보다도 잘 알고있다. 시노다는 일로전쟁기간에 일본정부의 국제고문노릇을 했다. 전쟁이 끝나자 국자가(연길)에 들어와 사회조사를하고 지도를 그렸다.
 

  일제는 연변을 일본의‘보호국’인 조선의 일부분이라고 떠벌이면서 억지로 우심산과 해란강 이남지역을 조선지도에 그려넣었다. 1909년 9월 4일, 일제는 륙, 해, 공군의 힘을 믿고 만청정부를 협박해 북경에서‘간도협약’을 맺는다.‘간도협약’의 제2, 제7조항에 따라 11월 1일에‘조선통감부림시간도파출소’를 취소하고‘간도일본총령사관’을 설치했다. 뒤이어 국자가, 투도구, 배초구, 훈춘 등지에 령사분관을 설치한다.

   
 

▲ 통감부간도림시파출소 소장 사이또

  간도일본총령사관은 일본외무대신의 지휘를 직접 받았는데 그 관할범위는 연길, 화룡, 훈춘, 왕청과 붕천성의 안도 등 5개 현이다. 총령사관이 설치된 초기에는 총령사관에  령사대리(스즈찌 요다르) 1명, 부관 1명, 서기생 2명, 경찰서장 1명에 경찰 16명을 두었다. 그후 세력을 강화하면서 1920년에는 조선총독부로부터 3백여 명의 경찰을 끌어들이고 총령사관에 경찰부를 설치하고 령사분관에 경찰서를 내왔다. 1928년 10월에 또다시 일본으로부터 백여 명의 경찰을 더 끌어들여 경찰기구를 강화했다.‘9.18’사변 이후인 1931년 11월에 총령사관 경찰부에‘특별수사반’이 세워진다.‘특별수사반’은 전문 혁명대오를 와해시키는 활동을 했다. 그리고 경찰분서를 19개 곳에 두었는데 령사분관 경찰서의 지시를 받았다. 경찰분서는 달라자(화룡현), 남양평, 동불사, 로투구, 명월구, 개산툰, 이도구, 남평, 삼도구, 의란구, 가야하(석현), 팔도구, 석건평, 량수천자, 조양천, 도문, 위자구, 투도구, 흥정자 등에 있었다.


  1922년 11월 27일에 총사령관사는 화재로 모두 타버렸다. 후에 3년이란 세월을 거쳐 1926년에 부지면 이 42,944㎡, 건축면적이 2,503㎡에 달하는 령사관을 지었다. 룡정시 인민정부청사가 바로 그때 지은 총령사관이다. 1937년 11월 5일에 일본과 위만주국사이에‘만주국에서의 치외법권을 철폐하고 남만철도부속지행정권을 양도하는 것에 관한 조약’이 맺어졌다. 조약에 따라 그해 12월에 간도일본총령사관과 그 산하의 5개 령사분관 및 경찰기구가 취소되였다. 후에 총령사관 자리에다‘개척의학원’을 만들었다. 령사관의 일군들은 모두 일본관동군과 특무기관에 배속되고 경찰은 위만주국 경찰기구에 배속되였다.‘특별수사반’은‘간도특별사업반’으로 개편했다.
 

   
 

▲ 일본총령사관

  간도일본총령사관과 그에 소속된 령사분관은 일본이 연변의 경제자원을 략탈하고 반일력량을 탄압하는 도구였다. 총령사관은 치외법관과 사법, 행정특권을 틀어쥐고 방대한 무장경찰과 헌병, 특무기구를 갖고 있었다. 총령사관산하에는 일본인 거류민회(1909년 11월), 동양척식주식회사간도지점(1911년 9월), 조선인민회(1919년 8월), 조선은행 룡점지점(1917년 3월), 룡정금융부(1922년 2월), 광명회(1925년) 등 기구도 설치되였다.


 일본총령사관과 경찰기구는 1913년도의 조선족반‘귀화’투쟁, 1919년도의‘3.13’봉기와 학생운동, 1922년도의 천도철도부설반대투쟁, 1930년도의 ‘5.1’반일시위 및‘5.30’폭동, 1931년의 추수투쟁과 1932년의 춘황투쟁을 탄압했다. 1932년에 위만주국이 건립된 후에는 이른바‘전면숙정’계획에 따라 군대, 헌병, 경찰과 특무를 총출동시켜 왕우구, 어랑촌, 소왕청, 대황구 등 여러 항일유격근거지에 대하여 피비린‘토벌’을 감행했다. 1930년부터 1935년 사이에 인구가 30만밖에 안 되는 연길현에서만 2만여 명의 반일투사들을 살해하고 체포했다. 총령사관은 철두철미한 일제의 침략공구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