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에 앞서 14일 노동시장 개혁 합의와 관련해서 한국노총 중앙집행위원회는 강경파의 반발로 상당한 진통을 겪었다. 강경파들은 “일반해고와 취업규칙 변경의 기준을 명확히 하기로 한 합의안을 수용할 수 없다”며 지도부 사퇴를 요구했다. 김동만 위원장은 “정부가 일방 시행하지 않겠다는 약속을 문서로 합의했다”며 “핵심 쟁점은 제도개선위원회에서 논의하기로 한 만큼 피해가 없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오후 3시 20분경 김만재 금속노련 위원장이 단상 위에서 시너를 뿌리고 분신을 시도하다 저지당하는 상황까지 벌어졌다. 지도부는 오후 4시 반 회의를 재개했고, 오후 6시 40분경 합의안을 의결했다.
정부 여당은 16일 노동 개혁 5대 법안을 국회에 제출하고 올해 안에 통과시킬 방침이다. 그러나 새정치민주연합에서는 “민주노총이 빠졌기 때문에 진정한 대타협이라고 볼 수 없다”고 한 관계자가 전했다. 한편 정부와 재계는 환영의 뜻을 밝혔다. 민경욱 청와대 대변인은 “노사정이 양보와 타협을 통해 나라를 살리는 앞길을 연 것을 높이 평가한다.”고 전했고, 경영자총연합회도 “첫발을 내디딘 만큼 노동시장 유연성을 더 확보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노사정 대타협이라는 상생의 정신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국회에서의 조속한 법률 통과가 필요하다.”며 “이념을 떠나고 당을 떠나 대승적 차원에서 노동개혁 법률안을 조속히 통과시켜 상생의 시대를 만드는 데 동참해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또한 “정부는 노사정 합의 내용을 토대로 필요한 입법과 행정조치를 서둘러 달라.”고 주문했고, 재계에는 “임금피크제로 절감된 인건비를 반드시 청년채용에 활용해야 할 것”이라며 “노동개혁이 실질적으로 일자리와 경제활성화에 돌아갈 수 있도록 노력해 달라.”고 요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