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4 (수)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월간구독신청

산업

신세계 차명주식 38만주 830억원 실명전환

자진공시로 진정성 호소

신세계.jpg▲ 지난달 5일 강원도 속초 신세계 영랑호 리조트 야외 특설무대에서 열린 신세계그룹 대졸 신입 1년차 교육 과정인 ‘신세계퓨쳐리더스캠프’에서 신세계그룹 정용진 부회장이 근속 1년차를 맞는 신입사원들에게 격려 메시지를 전달하고 있다. 정부회장은 환영인사를 통해 “세계 어딜 가나 만날 수 있는 비슷비슷한 면세점을 만들어선 안 된다.”고 말했다.
 
신세계그룹은 지난 11월 6일 이명희 회장이 신세계와 이마트, 신세계푸드 차명주식 총 38만주를 실명으로 전환했다고 밝혔다. 이 회장의 차명주식 보유설은 지난 10월 국정감사에서도 논란이 됐다. 이날 당일 종가로 830억원에 달하는 주식에 해당된다. 신세계그룹이 차명주식을 공개한 것은 지난 5월 국세청 이마트세무조사 때 이 회장의 차명주식이 확인되면서 10월 국정감사에서 야당 김기석 의원이 총수 일가의 1,000억원대의 차명주식 주장으로 논란이 일자 신세계그룹이 자진공시한 것이다. 신세계는 “이번에 남아있던주식 전부를 실명 전환키로 함에 따라 차명주식은 단1주도 남아 있지 않게 된다.”고 밝혔다.
 
신세계그룹의 차명주식은 2006년 2월 국세청 신세계백화점 세무조사에서도 확인된 바 있다. 신세계가 2001년부터 2004년까지 법인세를 제대로 납부했는지가 목적이었지만 이 과정에서 이 회장의 차명주식을 확인한 것이다. 정확한 차명주식 수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2억 2,000만원의 증여세를 부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신세계는 차명주식이 외부로 알려지는 것을 극도로 꺼려해 왔다. 이후 정용진 부사장 남매가 7,000억원 규모의 주식을 물려받을 때 3,500억원을 상속 증여세로 냈는데, 당시 차명주식에 대해 국세청이 부과한 세금이 35억원임을 감안할 때 100배나 되는 돈을 세금으로 냈다는 것은 신세계가 차명주식에 대해 얼마나 민감하게 여겼는지 보여주는 단면이다. 그해 말 정용진 부사장은 부회장으로 승진했다.
 
2007년 다 끝난 줄 알았던 차명주식의 존재가 이번에 또 문제가 된 것이다. 2006년 당시 국세청의 차명주식 확인한 뒤에도 이 회장의 신세계 지분율은 변화가 없었다. 이 회장은 2007년 7~8월 약 1,000억원으로 신세계 주식 16만주를 샀지만, 주식 매입비용은 알려진 바 없었다. 그리고 8년이 지나 또다시 차명주식 보유 사실이 드러나면서 신세계가 2006년 차명주식을 정리하지 않고 계속 유지해 온 배경에 대한 의견이 분분하다. 물론 지난 10월 국정감사에서 논란이 됐기 때문에 차명주식의 존재를 부인하기 어려웠을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그렇지만 신세계가 차명주식의 존재를 인정한 시점이 면세점 심사를 불과 1주일 앞둔 민감한 시기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쉽지 않은 결정이었을 것이다.
 
신세계가 면세점 사업에 사활을 걸고 있는 것은 누구나 다 아는 사실이다. 신세계는 이번에 실명 전환한 주식에 대해 “20∼30년전 관행적으로 이뤄지던 경영권 방어 차원의 명의신탁 주식 중 남아있던 일부”라며 탈세나 불법 비자금과는 무관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신세계는 차명주식 문제를 숨기려 했다면 전혀 방법이 없는 것도 아니고, 더 이상 이런 건 하고 싶지 않다고 깨끗한 그룹으로 거듭나려는 진정성을 강조했다. 하지만, 2006년 이후 차명주식 운용을 통한 탈법행위와 차명주식에서 발생한 배당금의 향방 등은 규명해야 할 과제로 남게 됐다. 이에 따라 금융감독원도주식소유자 이름을 거짓으로 공시한 사실을 확인하고 조사에 착수했으며, 정정 공시 내용과 그룹자료 등을 살펴본 뒤 제재 수위를 결정한다는 계획이다. 공시 의무를 위반한 기업에 대해서는 주의와 경고, 수사기관통보, 과징금 부과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다.
 
 
since1995 대한뉴스 홈페이지 www.daehannews.kr에서 더 많은 뉴스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