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07 (수)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월간구독신청

정치

중국-대만, 66년만에 양안 정상회담 개최

정신적 공감대 강조하며 쑨원 탄생 150주년 대규모 행사예고, 대만 '외교·경제분야' 등 국제무대 활동 활발해질 듯

 

중국대만 정상회담 개최.jpg▲ 대만 마잉주 총통과 중국 시진핑 주석이 싱가포르의 샹그릴라호텔에서 카메라에 손을 흔들고 있다. 두 국가 정상간의 만남은 60여년만에 처음이다.
 
지난달 7(현지시간) 싱가포르 샹그릴라호텔 아일랜드 볼룸에서 분단 이후 66년 만에 개최된 역사적인양안 정상회담을 통해 하나의 중국을 재확인한 중국과 대만은 쑨원 탄생 150주년인 내년 1112일을 앞두고 성대한 기념행사를 예고했다. 이날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마잉주 대만 총통은 80초가량 손을 맞잡았고, 중국 신화통신은‘80초간의 악수가 66년의 비바람을 넘어섰다.’고 보도했다. 또한, 시 주석과 마총통은 1시간 동안의 정상회담 후 양측 모두 국부로 추앙하고 있는 쑨원을 거론하며 동포애와 민족정신을 강조하는 감성적인 발언을 내놓아 관심을 끌었다. 쑨원은 근대 중국의 창시자로 중국 공산당이나 대만 국민당 등 대다수의 중국인들이 존경하는 인물이다. 먼저 중국에선 전국인민정치협상회의(정협)는 양안 정상회담 직후인 8일 회의를 열어 쑨원 탄신 150주년 기념행사를 성대하게 개최하기로 했다. 대만은 쑨원 탄생120주년에 이어 쑨원 탄생 150주년 기념화폐를 발행하기로 하는 등 대대적인 행사를 준비중이다.

 

시 주석은 존경하는 마잉주 선생이란 말로 모두발언을 시작했다. 시 주석은 이날 마 총통과 회담에서 지난 66년간 양안 동포가 비바람을 겪고 오랜 시간 단절돼 있었지만 어떤 세력도 우리를 갈라놓을 수 없다우리는 뼈가 부러져도 살로 이어진 동포 형제이며 물보다 진한 피를 지닌 가족이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양안이 이번 회담으로 역사의 새로운 한 페이지를 열었다.” , “역사는 오늘을 기억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리고 현재 양안관계는 선택을 위한 기로에 있다오늘 이 자리에서 앉은 것은 역사의 비극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양안의 평화발전의 성과를 다시 잃어버리지 않도록 하기 위해, 양안 동포의 평화와 안녕을 위해, 후손들이 아름다운미래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라고 밝혔다. 이어 양안이 민족에 대한 책임과 역사에 대한 책임의식을 갖고 역사의 고련을 이겨낼 수 있는 선택을 해야한다고 말했다. 시 주석은 해협을 사이에 두고 군사적 대치로 동포들이 단절되면서 많은 사람에게 뼈에 사무치는 고통과 무엇으로도 보상할 수 없는 여한을 남겼다면서 해협이 더 이상 형제 혈육 간의 정을 갈라놓을 수 없으며 고향에 대한 그리움과 가족들이 함께하고 싶은 갈망을 막을 수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마 총통도 시 선생이란 말로 발언을 시작하면서 “66년의 시공을 넘어 오늘 나와 시진핑 선생은 손을 내밀어 서로 악수했다.” , “최근 수년간 쌍방은 대립 대신 대화, 충돌 대신 화해를 취했다고 말했다. 마 총통은 非知之艱 行之惟艱(비지지간 행지유간:아는 것이 어려운 게 아니라 행하는 게 어렵다)’는 중국 경전 상서대목을 인용하면서 지혜와 인내심, 성의로 양자간 문제를 잘 처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시 선생(시진핑 주석), 양안 인민을 위해 우리가 함께 노력해 백성을 위해 생명을 바로 세우고 만세를 위해 태평함을 열며 중화민족을 위해 더 평화롭고 찬란한 미래를 열자고 요청했다. 이날 오후 6시쯤부터 공동 만찬이 샹그릴라호텔 3층 스테이트룸에서 시작돼 1시간 동안 이어졌다. 만찬장에서 시 주석과 마 총통은 원형의 만찬 테이블에서 옆에 앉았으며 양측에서 모두 14명이 참석했다.

 

이번 회담은 양안 교류 확대는 물론 동아시아 경제통합에도 변화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대만은 동아시아 4대 경제국으로 그 동안 중국의 반발을 우려해 양자 또는 다자간 자유무역협정(FTA)을 체결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시 주석은 이번 회담에서 하나의 중국이라는 원칙을 인정한다면 대만의 국제활동을 포용할 의사가 있음을 시사했다. 중국이 이 같은 자세를 견지한다면 대만은 역내 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RCEP),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IIB) 등에 참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내년 1월 예정된 대만 총통선거에는 이번 양안 정상회담의 영향력이 제한적일 것으로 나타났다. 대만 연합보가 9일 발표한 여론조사에 따르면 이번 양안 정상회담에 대한 만족과 불만족이 거의 비슷한 비율로 나타나 만족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전했다. 또한, 내년 대만총통선거가 양안관계의 고비가 될 것으로 보인다. 집권 여당인 대만 국민당은 중국과의 관계를 원하고 있지만, 대만 독립을 주장하고 있는 최대 야당인 민진당은 미국과 일본의 지지를 기대하고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