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오염 추적을 위한 환경시료의 정보 관리가 체계적으로 통합된다. 가령 50년 후에 ‘2015년 12월 17일 소나무 시료’를 검색하면 채취한 날의 장소부터 축적된 오염물질의 농도까지 모든 정보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
국립환경과학원은 환경시료의 ‘채취-분쇄-저장-분석’ 각 단계별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최저온 환경시료 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했다고 17일 밝혔다.
이 프로그램은 환경시료의 채취 지역, 시기, 시료의 크기, 오염물질 분석결과, 저장 위치 등과 같은 정보를 한 프로그램 내에 등록하고 이를 바코드화해 한 번에 모든 이력을 추적할 수 있다.
국립환경과학원의 국가환경시료은행에는 2010년부터 6년간 수집한 총 8종 9,000여 점의 시료가 저장되어 있으며, 앞으로 수십년 간 시료를 더 저장하고 이 프로그램을 통해 체계적으로 과거의 정보를 언제든지 손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산화된 시료 정보는 연구를 원하는 환경분야 과학자들에게 제공되며 저장된 시료를 분양함으로써 환경오염 모니터링 연구 활성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시료 자료를 활용한 연구결과는 다시 국가환경시료은행 시스템에 등록된다. 이렇게 축적된 자료는 여러 가지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게 되어 향후 환경정책을 수립하는 데 도움을 주는 과학적인 기반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 프로그램은 국립환경과학원 연구자들의 운영 경험을 토대로 순수 국내 기술로 개발됐다. 독일이나 미국 등 환경분야 선진국에서도 환경 시료에 대해 통합적인 정보 관리 체계를 갖추지 못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전 세계 다수의 연구진들이 환경시료 운영 기술을 참고하기 위해 매년 국립환경과학원을 방문하고 있다.
since 1995 대한뉴스 http://www.daehannews.kr 에서 더 많은 뉴스를 보실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