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2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월간구독신청

정치

국민 절반, 개성공단 중단·사드 배치 등 강경대응 찬성

박 대통령 국정 지지도 46%, 반기문 총장 차기 지지도·당선 가능성 1위

1.jpg▲(왼쪽)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달 7일 북한이 장거리 로켓(미사일) 발사와 관련, 청와대에서 긴급 국가안전보장회의(NSC)를 주재하고 있다. ▲(오른쪽)윤병세 외교부 장관이 지난달 9일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과의 면담에서 북한의 4차 핵실험과 장거리 미사일 발사에 대한 유엔 차원의 대응방안에 대해 협의하기 전 악수하고 있다.
 
지난 1월 북한의 4차 핵실험과 2월의 미사일 발사로 인해 박근혜 정부가 개성공단 조업 중단조치와 사드 배치라는 초강수로 맞선 가운데 정부의 초강경 대응에 국민의 절반 이상이 찬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응답자의 67.1%는 “북한의 위협에 대비하기 위해 사드를 배치해야 한다.”고 답변한 반면, “중국 등의 강경입장을 고려해 배치하지 말아야 한다.”는 답변은 26.2%에 그쳤다. 개성공단 가동 전면중단 조치에 대해선 찬성이 54.4%로, 반대 41.2%보다 13.2%P 높게 나왔다. 아울러 핵무기 독자 개발 또는 미군 전술핵의 남한 재배치에 대한 지지 여론(52.5%)도 비핵화 선언 유지 의견(41.1%)보다 높게 나타났다.

박근혜 대통령의 국정 운영 지지도는 46.0%로, 작년 12월말 조사(44.1%)에 비해 1.9%P 올랐다. 또한 부정평가는 48.7%로 49.1%였던 지난해 말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경기 지역에서 6.4%P 상승한 49.1%를 기록했고, 부산·울산·경남 지역에서는 4.6%P 상승한 49.8%로 나타난 반면, 광주·전라 지역의 지지도는 7.4%P 하락한 19.6%를 나타냈다. 서울, 대전·충청, 대구·경북의 지지율은 오차범위 내 변동으로 큰 차이가 없었다.

연령대별 조사에서는 20대의 국정운영 지지도가 17.7%에서 25.5%로 7.8%P 상승해 북한의 핵 실험과 미사일 발사, 개성공단 조업 중단조치로 인한 안보이슈가 중요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나머지 연령대에서의 지지도는 오차범위 내에서 그쳤다. 박 대통령의 국정 운영 지지도는 60세 이상(79.4%), 대구·경북(62.0%), 농·임·어·축산업(70.9%), 주부(60.2%) 층에서 긍정적인 평가가 높았고, 20대 이하(67.9%), 30대(71.2%)와 40대(63.6%), 광주·전라(71.0%), 화이트칼라(67.5%) 및 학생(65.3%)에서 부정적인 평가가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지난달 14일 차기 대통령 후보 선호도에서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이 28.3%로 1위를 차지한 가운데 17.9%를 차지한 2위 문재인 더민주 전 대표를 10%P 이상 따돌리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박원순 서울시장(10.5%),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8.6%), 오세훈 전 서울시장(7.9%), 국민의당 안철수 공동대표(7.8%)는 오차범위 내에 있었다. 지난달 조사와 비교하면 문재인 전 대표와 오세훈 전 시장은 각각 3.5%P와 2.7%P가 오른 반면 김무성 대표와 안철수 공동대표는 각각 2.6%P와 2.2%P 떨어졌다.

특히 반 총장은 새누리당 지지층뿐만 아니라 야권 지지층에서도 상당한 선호도를 얻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적으로 충청권과 대구·경북지역에서 각각 34.9%의 지지를 받았고, 강원, 제주, 인천, 경기에서 30% 이상의 지지를 받았으며, 부산·울산·경남 27.7%, 서울 22.8%, 광주·전라 19.6%의 지지를 받았다. 새누리당 지지자 중 41.1%가 반 총장을, 20.0%는 김무성 대표를, 14.5%는 오세훈 전 시장을 지지했다. 더민주 지지자 중 44.5%는 문재인 전 대표를, 18.9%는 반기문 총장을. 16.8%는 박원순 시장을 지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의당 지지층에서는 29.8%가 안철수 공동대표를, 21.3%가 반 총장을, 14.6%가 박원순 시장을 지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기문 총장에 대한 선호도는 60대 이상(36.9%), 농림축산업(44.9%)과 자영업(35.0%), 새누리당 지지층(41.1%)에서 높은 지지를 받았다. 문재인 전 대표 선호도는 20대 이하(29.3%)와 30대(25.2%), 40대(22.6%), 사무·전문직(24.2%)과 학생(34.3%), 야권 지지층(33.2%)에서 높은 선호도를 보였다.

차기 대통령 당선 가능성에서도 반 총장은 31.5%로 문재인 전 대표와 김무성 대표의 17.2%와 16.8%보다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박원순 시장(6.7%)과 안철수 공동대표(4.6%), 오세훈 전 서울시장(3.2%)은 상대적으로 낮은 응답률을 보였다. 지난달 조사와 비교하면 반 총장은 8.8%P, 문재인 전 대표도 4.9%P 오른 반면 김무성 대표는 6.1%P, 박원순 시장은 1.7%P, 안철수 공동대표는 1.9%P 떨어졌다.

한편, 총선에서 새누리당 후보에 투표하겠다는 응답이 40.9%였고, 더민주 후보 23.1%, 국민의당 후보 10.6%였다. 총선 전 야권 재편 가능성에 대해서는 제각각 선거를 치를 것이라는 예상이 50.9%로 선거연대 25%, 야권통합12.8%보다 많았다. 이번 총선의 최대 쟁점으로는 경제활성화가 41%로 가장 많았고, 일자리 창출이 18.6% 안보와 대북 이슈가 13.5%였다. 후보자 선택시 고려사항으로는 도덕성(32.2), 공약과 정책(28.8) 경력과 능력(20.6) 정당(11.4) 순이었다. 정당의 공천방식에 대해서는 상향식 공천이 59.9%로 인재영입공천을 해야 한다는 26.9%보다 30% 포인트 이상 높았다. 이번 여론조사는 연합뉴스와 KBS가 지난달 11~12일 코리아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성인 남녀 1013명을 상대로 유무선 전화로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로, 표본오차 95%±3.1%P다.

Since 1995 대한뉴스 홈페이지 http://www.daehannews.kr에서 더 많은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