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지난 2월 5일(현지시각) 1946년 1월 10일 첫 유엔 총회가 열린 영국 런던 웨스트민스터 옆에 있는 ‘센트럴 홀 웨스트민스터’ 대강당에서 영국유엔협회 회원 등 2천여명에게 창설 70주년을 맞은 유엔의 역할에 대해 얘기하며 한국과 자신의 어린 시절을 회상하면서 희망을 설파했다. 반 총장은 청중에게 “전 세계에 1억 2500만명을 넘는 사람들이 인도적 지원이 필요하고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최대인 6천만명이 집에서 피란했다.”고 말한 뒤 한국전쟁 얘기를 꺼냈다.
반 총장은 “나도 전쟁으로 폐허가 된 한국의 한 어린이로 마을이 파괴되는 걸 봤다.” 며, “우리는 유니세프에서 준 식량과 의약품에 의지해 생존했고, 유네스코에서 준 교과서로 공부했다.”고 밝혔다. 이어 “유엔은 우리의 생명선이었고, 희망의 상징”이었다며 오늘날 인도적 지원이 필요한 사람들이 그들의 삶을 다시 일구는 데 우리가 도움을 줄 똑같은 기회라고 역설하면서 “우리는 지금 거대한 도전들을 맞고 있지만, 함께하고 협력한다면 문제해결 역량도 훨씬 커질 것”이라며 “힘들지만, 미래가 있는 지금 여러분에게 희망의 메시지를 전하려고 한다.” 고 강조했다. 전날 유엔은 영국 등과 공동주최한 ‘시리아 인도적 지원회의’ 에서 세계 각국으로부터 100억 달러(약 12조원)를 넘는 지원 약속을 얻어냈다.
since1995 대한뉴스 홈페이지 www.daehannews.kr에서 더 많은 뉴스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