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LG생활건강 직원 회의 이미지.jpg](/data/photos/peg/1603/thumb/2769dfc91b867fcd12be2a295536165e_HIpW3zAFKsqW.jpg)
LG생활건강은 야근이 없는 회사로, 야근을 없애는 효율적인 회의와 보고 문화를 정착시켜, 10년 연속 높은 실적과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다. 우선 ‘1시간 내 1장 회의 문화’로 불필요한 시간 소비를 없앴다. 회의자료는 핵심사항만 가급적 1장에 요약하며, 회의 전 메일이나 메신저를 통해 회의 자료를 공유해 참석자의 사전 이해를 높인다. 회의 때에는 핵심주제에 대한 토론 위주로 진행하고, 회의결과는 바로 실행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외부 회의 일정이 있을 때에는 ‘직출(직접출근)’과 ‘직퇴(직접퇴근)’를 한다. 업무 보고 시에도 중요한 경우에만 대면보고를 진행해 직원들의 부담을 줄였다. 전화, 메일, 메신저, 문자 등을 통해 적시에 상사에게 알리는 효율적인 보고문화를 전사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LG전자도 일명 ‘111캠페인’을 진행해 온 것으로 유명하다. 111캠페인은 1시간 전 자료 공유, 1시간 내 회의, 1시간 내 회의 결과 공유를 뜻한다. 이 캠페인은 과도한 회의로 인해 생산성이 떨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시작했다. 구글 또한 회의 문화 혁신의 대표적 기업으로,. 에릭 슈미트 구글 회장은 구글의 ‘회의 8개 원칙’을 전해 화제가 된 바 있다. ‘회의 8개 원칙’은 △모든 회의에는 리더가 필요하다 △정보공유나 브레인스토밍 회의도 주재자가 필요하다 △꼭 필요할 때만 회의를 열어라 △회의 참석자는 8명을 넘기지 마라 △꼭 필요한 사람만 참석시켜라 등이다.
한국애브비는 6가지 회의 기본 규칙을 직원들과 함께 정하고 공유하고 있다. 직원들의 의견수렴 내용을 회의실마다 비치해 지속적으로 리마인드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스마트하고 명확한 의사결정을 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 우선, △ 안건은 물론 사전 자료를 공유하고 △ 회의시간 중 기기 사용을 금하고 있다. △ 실제 회의시간을 적절히 안배하고 △ 실행 항목을 조율하고 참가자들과 공유한다. △ 또한, 다양한 가능성에 반대 입장이 되어 생각해 보며 △ 다양한 아이디어가 공유되는 분위기를 조성하도록 하고 있다.
LG생활건강 정경식 조직문화부문장은 “기업에 있어서 회의나 보고 문화는 자칫 간과하기 쉬운 부분이지만 이것이 비효율적으로 진행될 시에는 생산성과 효율성을 떨어뜨리는 주범”이라며 “자사는 사소한 부분이지만 회의와 보고에 있어서 직원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지속적으로 노력해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since 1995 대한뉴스 홈페이지 http://www.daehannews.kr에서 더 많은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