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6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월간구독신청

산업

CJ제일제당 비비고, 한식 HMR 앞세워 상온 간편식 시장 진출

CJ제일제당은 비비고가 상온 가정간편식 시장에 진출하며 사업 포트폴리오를 확대한다고 밝혔다. CJ제일제당이 <비비고> 브랜드를 통해 간편식 신제품을 출시하며 가정간편식 시장 공략에 본격 나섰다.냉동식품 시장에서의 성공에 이어, ‘비비고 한식 HMR’을 앞세워 시장 내 변화와 혁신을 주도하겠다는 각오다. 특히 이번 ‘비비고 한식 HMR’은 지난해 ‘햇반 컵반’ 덮밥류와 국밥류에 이어 야심차에 내놓은 간편식 제품으로, HMR 시장 공략을 본격화하겠다는 의지를 드러낸 것이다.
 
이를 위해 CJ제일제당은 탕과 찌개 제품을 선보였다. ‘비비고 사골곰탕’과 ‘비비고 육개장’, ‘비비고 두부김치찌개’, ‘비비고 된장찌개’가 바로 그것. 가정에서도 ‘더 맛있게 더 편하게’ 즐길 수 있도록 까다로운 맛 검증 절차를 만들었다. CJ제일제당의 한식요리사들과 소비자 등도 평가단으로 참여해 직접 검증했다. 앞으로 출시되는 모든 제품은 이러한 맛 검증 시스템을 통과하지 못하면 출시할 수 없도록 했다.
 
‘비비고 한식 HMR’은 차별화된 레토르트 기술력을 적용해 재료 본연의 식감과 신선함을 극대화한 제품이다. 특히 집밥의 푸짐함과 가정에서 만든 정성스러운 음식을 구현한 점이 특징이다. 1~2인 가구 특성상 보관 편의성을 고려해 상온 제품으로 구현했다. ‘상온 식품은 장기간 보존이 가능하지만 식감과 맛이 다소 떨어진다’는 고정관념을 깨기 위해 더욱 맛있게 만드는데 집중했다.
 
‘비비고 한식 HMR’은 ‘비비고 사골곰탕’과 ‘비비고 육개장’, ‘비비고 두부김치찌개’, ‘비비고 된장찌개’ 등 총 4종이다. ‘비비고 사골곰탕’은 호주 청정우의 사골을 8시간 동안 고아 깊고 진한 국물이 특징이다. 육수에 마늘, 양파, 대파, 표고버섯, 무, 생강 등 7가지 야채를 담아 구수함과 시원한 맛을 살렸다. ‘비비고 육개장’은 3시간 동안 끓여낸 양지육수에 큼직하게 찢은 양지살과 토란대, 대파 등을 푸짐하게 넣어 깊고 깔끔한 맛이 일품이다. 직접 볶은 고추 다대기를 넣어 얼큰함을 더했다.
 
‘비비고 두부김치찌개’는 잘 익은 김치를 기름에 볶아 깊은 맛을 살리고 큼직하게 썬 두부를 넣어 끓였다. 멸치, 다시마를 우려낸 국물에 사골육수를 더해 시원하고 깊은 맛이 일품이다. 육수와 김치, 건더기를 따로 포장해 신선한 맛과 풍성한 식감을 즐길 수 있다. ‘비비고 된장찌개’는 한식메주된장으로 깊고 구수한 맛을 살리고 갖은 양념과 재료를 더해 만들었다. 조개, 멸치, 다시마를 넣어 깔끔함과 감칠맛을 느낄 수 있다. 신선한 두부와 엄선한 표고버섯, 감자, 양파 등 각종 야채를 큼직하게 썰어 넣어 집에서 끓인 된장찌개 맛 그대로 간편하게 즐길 수 있다.
 
CJ제일제당은 다음달 ‘비비고 부대찌개’를 선보이고 한식 일품요리, 반찬류 등 추가 한식 HMR 신제품을 출시하며 공격적인 영업/마케팅활동을 펼친다는 계획이다. 이를 통해 올해 매출 100억원을 달성하고 내년에는 300억원대까지 키운다는 방침이다. 차별화된 연구개발(R&D) 역량과 메뉴 개발력 등을 확보해 제품 라인업을 확대하고 향후 글로벌 대효 ‘한식 HMR’로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한편, <비비고>는 냉동식품 시장의 프리미엄화 및 성장을 견인하는 대표 브랜드로 자리매김했다.히트제품들의 성과에 힘입어 냉동식품 시장에서만 2,500억원 이상의 누적매출을 달성했다. 경쟁이 치열한 국내 시장에서의 냉정한 평가와 검증을 거쳐 글로벌 시장에서 K푸드라는 새로운 라이프스타일을 전파하는 브랜드로 성장하고 있다.


since 1995 대한뉴스 홈페이지 http://www.daehannews.kr에서 더 많은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