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16 (금)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월간구독신청

산업

3개 에너지 공기업 작년 12조 손실

수자원公 5조 7956억원 최대


이미지 17.jpg
 
 
국내 공공기관 가운데서도 특히 에너지 관련 공기업 의 손실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한국수자 원공사, 한국석유공사, 한국광물자원공사 등 3곳의 당 기순손실이 12조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막대 한 부채를 진 가운데 저유가 등 원자재 가격 하락으로 해외 자산가치가 줄어들었기 때문이다. 지난달 8일 기 획재정부와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시스템인 알리오 에 따르면, 지난해 30개 공기업의 총 당기순이익 규모 는 약 4조 6000억원으로 1년 전보다 6000억원 늘었다. 전체 공기업에선 순익이 늘었지만, 일부 공기업은 오히려 큰 손실을 본 것으로 나타났다.

당기순손실 규모가 가장 컸던 곳은 정부의 4대강 사 업을 맡은 한국수자원공사로 지난해에만 5조 7956억 원에 달했다. 1년 전 순이익이 2993억원이었던 것에 비교하면 1년만에 실적이 6조원 이상 악화된 것이다. 한국석유공사는 4조 5003억원, 한국광물자원공사는 2조 636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 석유공사는 유가 하락으로 판매단가가 떨어진 점, 장기 유가 전망치 하 락에 따른 개발사업부문 자산손상 등으로 창사 이래 가장 큰 손실 규모를 기록했다. 광물공사는 지난해 동, 니켈 등 주요 광물의 가격이 내려가면서 투자 지분가 치가 하락한 영향이 컸다.

이들 에너지 관련 공기업 3곳은 당기순손실 1~3위 를 차지했다. 이들의 순손실 규모를 합치면 약 12조 3595억원에 달한다. 이들 3곳 에너지 관련 공기업은 부채규모에서도 상위권에 속했다. 석유공사 부채는 지 난해보다 2.6% 늘어난 19조 96억원으로 5위, 광물자 원공사는 14.9% 증가한 4조 6206억원으로 8위를 기록했다. 수자원공사는 정부 부채지원방안에 따라 1년 전과 비교해 1.4% 소폭 줄어든 13조 2732억 원으로 집계됐지만, 부채 규모 순위는 7위로 여전히 높았다. 반면, 한국전력공사는 13조 4164억원, 한국토지주택 공사(LH)는 9801억원, 인천국제공항공사는 7714억 원으로 순이익을 기록해 대조를 이뤘다. 정부는 14 일 공공기관장 워크숍을 열고 에너지, 환경, 교육 등 3대 분야 공공기관의 기능 조정방안을 확정해 발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