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5.22 (목)

  • 구름많음동두천 17.6℃
  • 맑음강릉 20.3℃
  • 구름많음서울 18.2℃
  • 맑음대전 18.5℃
  • 맑음대구 19.0℃
  • 맑음울산 20.0℃
  • 맑음광주 18.4℃
  • 맑음부산 19.1℃
  • 맑음고창 18.4℃
  • 맑음제주 21.3℃
  • 구름많음강화 15.3℃
  • 구름조금보은 17.3℃
  • 맑음금산 18.1℃
  • 맑음강진군 18.7℃
  • 구름조금경주시 20.7℃
  • 맑음거제 19.7℃
기상청 제공
월간구독신청

산업

지난해 외국관광객 유치, 일본보다 뒤처져

일본 외국관광객 2000만명, 한국보다 650만명 많아


이미지 29.jpg
 

지난해 우리나라가 외국관광객을 유치한 실적이 일 본에 뒤처진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까지 한국의 외 국관광객 유치실적이 일본을 앞섰지만, 지난해 일본 은 2000만명에 육박했지만, 우리나라는 1300여만명 에 그쳐 650만명이나 차이가 났다. 그리고 일본은 약 11조원의 흑자를 기록했지만, 한국은 약 6조원의 적 자를 기록했다. 지난 5월 31일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지 난해 관광객 유치실적을 분석한 결과, 외국관광객 유 치성과 주요 수치가 모두 일본에 뒤처진 것으로 나타 났다. 한일 관광실적이 역전된 것은 엔저추세에 따른 환율효과나 메르스 발생 영향도 있지만, 일본의 체계 적인 관광객 유치전략 등 때문에 중화권 관광객 유치 실적, 근거리 국가 관광객 유치실적, 한국·일본 관광 객 유치실적, 전체 외래객 증가율, 중국인 관광객 의 존도 등 주요 수치에서 한국이 일본에 뒤처졌기 때문 이었다. 지난해 한국은 중국인 관광객 유치 실적에서 600만명으로 500만명인 일본을 앞섰지만, 중화권 전 체로 보면 일본은 1,000만명을 유치했지만, 한국은 700만명에 그쳤다.


이미지 30.jpg
 

그리고 일본을 찾은 중국인 증가율(48%)이 한국을 찾은 중국인 증가율(28%)보다 훨씬 높고, 중국 이외의 주요지역·국가별 외래객 증가율에서도 일본이 한 국을 크게 앞섰다. 여기에 근거리 국가(한국/일본, 중 국, 대만)로부터 관광객 유치실적도 일본은 1270만 명, 한국은 830만명이었고, 한국과 일본이 일본과 한 국에서 관광객 유치실적도 180만명, 400만명으로 뒤 처졌다. 중국인 관광객 의존도도 일본은 25%이었으나 한국은 절반에 가까운 45%였다. 이러한 배경에는 엔 저 영향도 있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신속하고 체 계적인 위기대응, 외래 관광객 유치 프로모션, 중일관 계 악화 영향 차단, 지방관광지 경쟁력 등이 있다고 전 경련은 해석했다.

예를 들어 일본은 2011년 동일본 대지진 이후 외래 관광객 급감에 대응하기 위해 외국에 신속하고 체계적 인 안전정보를 발신하는 한편, ‘방일여행촉진 민관협 력체계’를 구축하고, 국가별로 전략적 관광객 유치 프로모션을 추진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 2012년에는 지진 발생 전 수준을 거의 회복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그리고 2012년 센카쿠제도 문제로 중일간 외교분쟁이 격화되었을 때 중국인 단체관광객 취소사태가 발생했 을 때에도 일본은 비자발급 완화, 항공노선 증편 등 중국인 개인관광객 유치정책을 신속하게 추진해 2014년 부터 방일 중국인이 폭증하는 성과를 거뒀다.

전경련은 올해에도 방일 중국인 관광객 증가율이 방 한 중국인보다 크게 높아서 전체 한일 관광객 유치실 적 역전이 장기간 계속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일본과 대만 관광객 등 중국 이외의 외래객 유치에 노력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일 본은 경상권을 방문하는 일본인 관광객을 늘리기 위 해 지리적으로 가장 가까운 큐슈지역 지방정부와 협 력해 나갈 필요가 있고, 여성 한류팬의 방한을 촉진하기 위한 맞춤형 전략이 필요하다. 대만은 한국방문 비용이 일본방문 비용보다 저렴하다는 것과 그리고 쇼핑 등에서 중국어 소통이 쉽다는 점 등을 호소해야 한다 고 지적했다.

한편, 한국을 찾은 외국인이 방문하는 권역 중 4위 를 차지하는 곳이 강원도인데, 강원권은 설악산, 평창 등 기존의 관광자원과, 비무장지대와 금강산이라는 잠 재적 관광자원 보유지역으로 강원권을 차세대 외국인 관광거점으로 개발해야 한다고 내다봤다. 즉, DMZ 평화공원을 개발하고 금강산관광이 재개될 때를 대비 해 서울 ~ 설악산 ~ DMZ평화공원 ~ 금강산을 연결 하는 프리미엄 관광상품을 개발해야 한다는 것이다. DMZ와 금강산에 외국인 관광객이 찾아오면 장기적 으로는 안보와 남북관계 측면에서 도움이 되는 측면도 있다는 것이다. 전경련 엄치성 국제본부장은 “중국 관 광객 증가 덕분에 관광산업의 큰 성과가 있었다고 착 각하기 쉬우나, 일본 관광 산업 성과와 비교하면 실상 은 그렇지 않다.”고 밝히며, “기존의 민관협력체계를 강화해 위기별 대응 매뉴얼 개발, 국가별 프로모션 전략 수립 등 실질적인 결과물을 도출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