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포털 커리어(대표 강석린)에 따르면 직장인 232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직장인 10명 중 6명이 ‘치약 파문 이후 생활용품 구매시 ‘성분’을 가장 먼저 확인하겠다’고 답했다. ‘잇따른 가습기 살균제, 치약 파문을 겪은 후 생활용품 구매시 가장 먼저 무엇을 확인하시겠습니까?’라는 질문에 무려 65.5%가 ‘성분’을 확인하겠다고 밝혔다.
평소 직장인 10명 중 1명만이 ‘성분’을 확인했던 것으로 나타나 생활용품 유해성 논란이 소비자의 구매 활동에 큰 영향을 준 것으로 풀이된다. 대부분의 소비자는 구매시 ‘가격(25.8%)’, ‘효능 및 효과(20.1%)’, ‘용량(16.4%)’ 등을 확인 요소로 꼽아왔다. ‘거듭된 생활용품 유해성 논란이 귀하에게 어떠한 변화를 가져왔나요?’라는 질문에 응답자의 27.6%가 ‘화학 생활용품에 대해 불신하게 되었다’고 답했으며, ‘모든 생활용품에 대해 불신하게 되었다’는 의견도 20.7%나 됐다. 이밖에 ‘해당 기업 제품을 사용하지 않게 되었다(22.4%)’, ‘친환경 제품을 사용하게 되었다(13.8%)’, ‘변화 없다(13.8%)’ 순이었다.
한편, 화학물질이 포함됐다고 알려진 치약의 ‘교환 및 환불 조치’에 직장인 10명 중 5명이 ‘교환 및 환불받지 않았다(55.2%)’고 답했다. 이는 ‘교환 및 환불 받았다(25.9%)’고 답한 직장인보다 2배 이상 높았다. 기타로는 ‘인터넷 기사를 주시한다’, ‘해당 제품을 버린다’는 의견이 눈길을 끌었다. 이번 설문조사와 관련해 김진영 홍보마케팅팀 팀장은 ‘거듭된 생활용품 유해성 논란으로 인해 모든 소비자들이 불안해하고 있다’며 ‘성분 확인 및 제조사에 대한 관심이 단발성으로 끝나지 않고 지속적으로 이어지길 바란다’고 말했다.
since 1995 대한뉴스 홈페이지 http://www.daehannews.kr에서 더 많은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