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포털 잡코리아가 올해 신입직으로 구직활동 중인 신입직 구직자 1,570명에게 ‘올해 취업하고 싶은 그 기업에 취업이 되지 않는다면 어떻게 하겠는가’ 질문했다. 그 결과 10명 중 4명에 달하는 41.7%가 일단 다른 곳에 취업한 후 내년에 다시 지원하는 ‘취업반수를 할 것’이라고 답했다. 또 28.9%는 구직활동을 더 하면서 내년에 다시 지원 하는 ‘취업재수를 할 것’이라고 답했다. 반면 포기하고 ‘다른 기업에 취업하겠다’는 구직자는 29.4%로 집계됐다.
공기업 취업이 목표인 구직자 중에는 46.5%가, 대기업이 취업이 목표인 구직자 중에는 45.2%가 ‘올해 해당 기업에 취업이 안 되면 취업반수를 할 것’이라 답했다. 그리고 외국계기업 취업이 목표인 구직자 중에는 44.1%, 중견기업 취업이 목표인 구직자 중에도 42.4%가 취업반수를 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취업반수를 할 것이라는 응답자는 남성 구직자(40.9%) 보다는 여성 구직자(42.7%) 중에 더 많았고, 최종학력별로는 4년대졸자 중 42.0%로 2,3년대졸자(40.0%)나 대학원졸업자(39.6%), 고졸자(38.3%) 보다 많았다.
해당 기업에 취업하고 싶은 이유를 복수응답으로 조사한 결과 ‘복지제도(51.4%)’와 ‘근무환경(46.7%)’을 이유로 취업을 선호하는 구직자가 많았다. 직원 복지제도가 잘 되어 있을 것 같다거나 근무환경이 좋아보여 취업하고 싶다는 구직자가 많은 것이다. 그 다음으로는 ‘기업의 미래 비전(34.7%)’이나 ‘연봉수준(30.2%)’ 때문에 해당 기업에 취업하고 싶다는 구직자가 많았다. 신입직 구직자들이 가장 취업하고 싶어 하는 기업은 대기업(27.8%)으로 집계됐다. 그리고 다음으로 중견기업(26.8%) 중소기업(19.2%) 공기업(10.0%) 외국계기업(8.1%) 순으로 취업하고 싶다는 응답자가 많았다.
since 1995 대한뉴스 홈페이지 http://www.daehannews.kr에서 더 많은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