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제개종으로 인한 국내사망자가 2명이나 발생이 됐지만 대한민국정부가 침묵으로 일관하자 유엔인권이사회가 직접 강제개종의 실태인 납치·감금·폭행을 규탄하는 성명서를 발표해 한국의 강제개종목사들의 해악이 국제적 도마 위에 올랐다.
지난 3일(현지시간) 유엔인권이사회의 성명서는 지난 2007년과 2018년 한국 내에서 벌어진 강제개종과정에서 개종목사들에 의해 살인사건이 발생한 후에도 대한민국정부가 방관을 하자 결국 해외 주요NGO(비정부기구)들이 나서서 성명서를 발표한 것이다.
유럽 ‘양심의 자유 협의회’(CAP-LC)는 이날 스위스 제네바에서 열린 제41차 유엔인권이사회(United Nations
Human Rights Council, UNHRC)회의에 참석해 신천지 예수교 증거장막성전(총회장 이만희·이하 신천지예수교회)성도에 대한 강제개종을 규탄하는 성명서를 공식 발표했다.
CAP-LC는 유엔 경제사회이사회(UN ECOSOC) 특별협의지위를 부여받은 NGO로 종교와 신앙의 자유를 보호하기 위해 20년 간 전문지식을 개발하고 종교자유에 대한 보고서를 작성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하고 있는 비정부기구로 알려져 있다.
CAP-LC는 성명서에서 “대한민국 당국이 강제개종자들에 대해 적절한 조치를 취하지 않고 있다”며 강제개종에 대한 조사와 관련자들에게 엄중한 책임을 물을 것을 촉구했다.
성명서에는 “한국의 강제개종 목사들이 부모나 친척으로부터 상당한 액수의 돈을 지불받은 후 특정인을 납치하고 감금한 채 그들이 신앙을 포기할 때까지 심한 육체적·정신적 압력을 가하고 있다”며 강제개종의 전형적 행태를 소상히 설명했다.
이어 “20세기가 끝날 무렵 미국과 유럽의 법원은 강제개종자들의 범죄행위를 불법화 했다”며 “기독교 목사들이 수행하는 강제개종이 여전히 진행되고 있는 국가 중 하나가 한국”이라고 지적을 했다.
성명서는 “강제개종의 가장 빈번한 희생자가 신천지 교인들”이라며 “한국에서 지난2003년 이후 1,444건의 강제개종이 이뤄진 것이 보고됐으며 2007년 김선화 씨와 2018년 구지인 씨가 강제개종 중 사망했다”고 밝혔다.
CAP-LC는 “우리는 대한민국 정부가 심한 비난을 받고 있는 강제개종에 대해 조사하고, 이러한 불쾌한 관행과 일부 기독교 목사들의 강제개종을 지지하는 신천지 증오발언을 멈추는 데 한국정부가 적극 나설 것”을 촉구했다.
대한민국 정부는 지난 2018년 구지인 씨 사망사건 이후 강제개종 금지법 제정을 요구하는 청와대 국민청원에 14만 명 이상이 동의했지만 청와대는 피해자 신상이 들어갔다는 이유로 이 청원을 돌연 삭제한 후 아무런 답이 없다. 주무부서인 문화체육관광부 역시 강제개종자들을 조사해달라는 민원에 특정 종교에 관여가 불가하다는 통보를 해 온 것으로 전해졌다.
유엔에서 발표된 성명서는 강제개종은 자신과 다른 종파의 구성원들을 납치, 감금해 개종을 강요하는 행위이며 이 과정에서 최대 수천만 원의 금품이 오고가는 등 사실상 돈벌이를 위한 사업형태로 운영되고 있다고 사례들을 분석해 지목했다.
한편, 피해 당사자인 신천지예수교회 관계자는 “지난 2018년 구지인 씨 사망 이후 정부와 사법당국에 강제개종금지법 제정과 강제개종 목사 조사를 요청했지만 외면당해 왔다.”며 “현재 100여 명의 피해자가 추가로 발생해 그 심각성을 해외에서 먼저 확인하고 연락해온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이 교회 관계자는 “해외 전문가들과 연대해 종교의 자유를 지키고 돈벌이에 눈이 먼 파렴치한 목사들의 종교증오범죄를 근절시킬 수 있도록 최선책을 강구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