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영동군의 마을 만들기 지원 사업이 코로나 19로 인한 사업 진행의 어려움 속에서도 성공적으로 진행되며 농촌에 새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
코로나 19가 장기화되며 일상이 멈추고 제한됐지만, 영동군의 행복하고 살기 좋은 마을 만들기 프로젝트는 계속되고 있다.
군에 따르면 2021년 2단계 마을 만들기 지원 사업이 최근 최종 평가를 거치며 성공적으로 마무리 됐다.
이 마을 만들기 지원 사업은 ‘영동 군 마을 만들기 지원 등에 관한 조례’제정 이후인 2018년부터 주민 주도 상향 식 사업으로 큰 호응을 얻으며 추진되고 있다.
농사일에만 전념하던 주민들이 참여와 소통을 기반으로 자발적으로 마을 환경 개선과 문화 복지 프로그램 운영 등의 계획 수립 후 군의 예산을 지원 받아 시행된다.
총 3단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1단계는 마을 당 사업비 5백만원 이내로 2단계는 3천만원 이내, 3단계는 1억 원 이내로 추진하고 있다.
특히 올해 추진한 2단계는 참여 주민들의 관심과 참여도가 남달랐다.
지난해 1단계 마을 만들기 지원 사업인 마중물 소액 사업을 시작으로 작년 9월 평가를 통해 영동읍 탑선리, 학산면 지내 권역, 학산면 도덕리, 양강면 지촌리, 양산면 봉곡리 5개 마을이 선정되어 2단계 마을 만들기 지원 사업을 추진하였다.
신선 탑 축 조, 경관 조명, 꽃길 조성, 쓰레기 분리 수거장 설치, 역사 박물관 등 다양한 하드웨어 사업과 탈춤, 한방 꽃 차 만들기, 트롯 장구, 재봉틀 교실 등 마을 역량·특성을 반영한 문화·복지프로그램을 운영했다.
기존에는 평가 시 마을 주민들이 모여 발표와 퍼포먼스를 하며, 서로 격려하고 응원하는 축제 형식으로 진행되었지만, 올해에는 코로나 19 확산 방지를 위해 서면 심사와 함께 평가 단 들 이 마을 방문 평가를 해 간소하게 진행됐다.
코로나 19와 이른 무더위 속에서도 마을 주민들이 열심히 준비한 결과 5개 모든 마을이 선정되어 3단계 마을 만들기 지원 사업인 으뜸 마을 사업비로 5,000 만원을 지원 받는 영예를 누리게 되었다.
주민 참여 의지와 열의가 높아 마을 공동체 의식 향상과 생활환경 개선 등 사업의 효과가 크게 나타난 것으로 분석됐다.
3단계 사업비는 내년에 더 살기 좋은 마을을 위한 재원으로 쓰여질 예정이다.
군은 참여 마을 주민들 스스로가 마을의 문제를 풀고 농촌 가치를 높이고 있는 만큼, 컨설팅, 역량 강화 교육 등 다양한 행정적 뒷받침을 할 방침이다.
박세복 군수는 "낮은 출산율과 고령화로 침체돼 가는 농촌 마을의 공동체 활성화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해서는 적극적 주민 참여가 필수적인데, 주민 주도 상향식 사업인 마을 만들기 지원 사업이 변화를 일으킬 수 있을 것"이라며 "마을 주민 모두의 참여 하에 성공적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올해 1단계 사업으로는 영동 읍 동정 ·부용2 ·설계리, 황간면 옥포 1리 등 10개 마을이 사업에 참여하고 있다.
공동체 의식 향상과 소통의 매개체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으며, 다음 달인 7월 중 1단계 사업 최종 평가를 진행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