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들 4개 지역은 최근 에너지정책을 잇따라 발표하며 에너지정책을 주도하고 있는데, 서울시가 2012년5월 발표한‘원전하나줄이기’사업을 시작으로, 같은달 제주도가‘글로벌 에코플랫폼 제주’를, 6월에는경기도와 충청남도가‘경기도 에너지 비전 2030’과‘2020 지역에너지 종합계획’을 각각 발표해 추진중에 있다. 따라서 이번 공동선언을 통한 4개 단체장의 합의는 큰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지역에너지 전환을 위한 공동선언문’에서 지역에너지 전환이란 깨끗하고 안전한 에너지를 지혜롭게 쓰는것을 의미하며, 선언문은‘제21차 유엔 기후변화협약당사국 총회(COP21)’를 앞두고 4개 시·도가 지역에너지정책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상호 협력해 지역상생의 시대를 열어가자는 내용을 골자로 했다.
또한 이들은 에너지수요관리와 신재생에너지 생산을통해 지역의 에너지 자립도를 높여 원자력발전소와 석탄화력발전소의 건설을 대체하고, 분산형 에너지 확대와 에너지 신산업 육성을 위해 정부와 협력하고 이를위한 협의기구 구성을 제안하기로 합의했다. 더불어2020년 이후부터 시작되는 신기후체제 준비를 위해상호 협력하고,‘지역에너지 정책포럼’을 정례화하여 지역별 에너지정책의 경험 등을 공유하기로 했다.
한편, 공동선언문 발표에 앞서 각 광역단체장은 지자체별 에너지정책의 비전과 주요성과를 발표하고 질의응답 하는 시간을 가졌다. 먼저, 박원순 서울시장은원전하나줄이기 정책을 통해 2014년 원전 1기분에 맞먹는 200만 TOE를 절감하고, 이 과정에서 563만톤의온실가스를 줄었다고 발표하며,‘원전하나줄이기 2단계, 에너지살림도시 서울’종합대책을 통해 2020년까지 전력자립률을 20%까지 올리고 400만 TOE의 에너지절감 및 1천만톤의 온실가스를 저감하겠다고 다짐했다. 아울러 태양광시설의 증가, 서울시내 조명 친환경 고효율 LED로 교체 등 이 사업을 통해 변화되고 있는 서울의 구체적 모습을 소개했다.
남경필 경기도지사는 경기도 에너지비전 2030의 선포배경을 밝히고, 효율혁신을 통한 소비 20% 절감, 신재생에너지 생산 20%달성, 에너지 신산업 등을 추진하여 2030년까지 전력자립도를 70%까지 끌어올리겠다고 설명하였다. 또, 이를 위한 도민 참여 거버넌스체계 구축, 경기도형 발전소 조성 등 경기도가 에너지신산업의 오픈 플랫폼이 되겠다고 다짐했다.
안희정 충남도지사는 지역에너지 종합계획을 소개하며, 화력발전 지역자원시설세를 활용, 지역적 특성을살린 에너지 자립섬과 발전소 온배수 활용, 태양열 농산물 건조기 등 신재생 에너지 보급 정책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또한 전력산업의 패러다임 전환을 위해서 우리나라 전체 전력의 51%를 소비하고 있는 산업시설을 대상으로 차등적 전기요금제 도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원희룡 제주특별자치도지사는“카본프리는 어려운도전이나 카본프리를 달성하기 위한 노력은 새로운 경제적 가치를 창출하는 기회가 될 것”이라며 제주의 카본프리아일랜드 정책 취지를 밝히고, 성공적 추진을위해 그린빅뱅 모델 도입, 2030년까지 도내 전력수요100%를 신재생에너지 발전으로 전환, 전기차 약 37만대 운행 등을 시행하겠다고 말했다. 그리고 이에 대한 효과로 203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 전망치 90%이상 감축, 일자리 창출, 경제활성화 및 지역주민의 소득증대 등이 발생할 것으로 기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