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주 운전사고가 발생한 요일별로 보면, 토요일(18.2%), 일요일(16.1%) 등 주말에 특히 집중되었으며, 시간대별로는 오후 10시 ~ 자정(19.5%), 자정 ~ 새벽 2시(16.7%) 등 자정을 전후해 집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일별로 음주 운전사고의 발생시간대를 분석해 보면, 금요일 오후 10시 ~ 자정 사이에 4,756건이 발생하여 음주 운전사고가 가장 많았으며, 금요 일 자정 ~ 토요일 새벽 2시(4,740건), 목요일 오후 10시 ~ 자정(4,213건) 등의 순으로 나타나 심야시간대 음주단속 강화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음주 정도별 발생률을 보면 0.10%~0.19%가 64.9%, 0.05%~0.09%가 22.2%, 0.20%~0.29%가 10.7% 등의 순으로 나타났는데, 음주 운전사고의 절반 이상인 64.9%가 만취수준인 0.10%~0.19%에 서 야기시킨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혼수상태 등 심신상실의 위험 을 초래할 수 있는 0.30% 이상의 경우도 0.5%(638건)를 차지하였다. 한편, 음주 정도에 따른 치사율(100건당 사망자)을 보면 0.10% ~ 0.19% 2.0명, 0.20%~0.29%는 5.0명, 0.30%~0.34%는 10.9명, 0.35% 이 상일 때 13.1명 등으로 혈중알코올농도에 비례하여 사고의 위험성이 급격하게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고운전자 차종별로는 승용차 음주 운전사고가 78.5%로 가장 많았 고, 다음으로 화물차(11.9%), 이륜차(6.3%), 승합차(3.2%)의 순이었는데, 정상운전(비음주)사고와 비교할 때 승용차운전자들의 음주 운전사고 발생률이 1.2배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으며, 음주 운전사고 10건 중 1건 이상은 화물차가 일으킨 것으로 나타나 화물차 음주사고 역시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고운전자 연령층별로는 40대가 27.6%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30대가 26.1%, 20대가 23.1%, 50대 16.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청장년층인 20~40대 운전자들의 음주 운전사고율이 전체의 76.8% 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20대 운전자들의 경우 정상운전(비음주)사고와 비교할 때 1.7배 이상 사고율이 높았던 것으로 나타나 젊은 운전자들의 음주 운전이 매우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시도별로는 인구 10만 명당 음주 운전사고 발생 건수는 충남이 397.6건 으로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강원(385.3건), 전남(377.7건), 울산(371.5건)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세종이 156.2건으로 가장 적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사고에서 음주 운전사고가 차지하는 점유율은 충남이 19.4% 로 가장 높았으며, 세종(18.3%), 울산(16.8%)의 순이었다. 사망자의 점유율은 세종이 27.3%로 가장 높았으며, 울산(19.3%), 충남(18.3%), 경남(15.9%)의 순이었으며, 충북이 8.3%로 가장 낮았다.
도로교통공단 교통사고종합분석센터 박길수 센터장은, “연말 송년모 임 등으로 술자리가 잦아지게 되어 음주 운전의 유혹이 커질 수 있다” 며, 한 잔의 술도 음주 운전이라는 것을 명심하고 건전한 음주문화 를 통해 안전 운전을 당부하였다.
since 1995 대한뉴스 홈페이지 http://www.daehannews.kr에서 더 많은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