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는 2013년부터 작년까지 상시·지속 업무에 종사하는 공공부문 비정규직 근로자 7만 4천명을 정규직으로 전환했다. 특히 우체국금융개발원, 대구시시설관리공단, 군포시청, 한국체육산업개발 등 일부 기관은 정규직 전환 대상이 아닌 근로자도 추가 전환하는 등 적극적인 정규직 전환 노력을 기울인 것으로 나타났다.
공공기관(공기업·준정부기관)은 정원의 5%, 지방공기업은 8% 내에서 상시·지속 업무를 하는 비정규직 근로자를 사용해야 한다. 단, 한시적 업무나 업무성격상 비정규직 사용이 불가피한 경우에는 이를 적용치 않을 수 있다. 정규직 전환에서 제외되는 대상은 일시 간헐적 업무 종사자와 주 15시간 미만 근로자, 고령자, 박사 등 전문가, 휴직 파견 대체자, 정부 복지 실업대책에 따른 일자리사업 종사자 등이다. 정부는 각 기관이 정해진 목표비율을 지키는지 자세히 모니터링해 이를 기관평가에 반영할 방침이다.
2016~2017년 전환규모는 교육기관 7600명(50.0%), 자치단체 2800명(18.4%), 공공기관 2000명(12.9%) 중앙행정기관 1600명(10.7%), 지방공기업 1200명(8.0%) 등이다. 현 정부 들어 약 9만명이 정규직으로 전환되는 셈이다. 정부는 정규직 고용관행을 정착시키기 위해 ‘비정규직 사용비율 목표관리제’ 도 추진한다.
또 비정규직 차별 가능성이 큰 기관은 자율진단, 근로감독 등을 통해 불합리한 차별을 없애도록 적극적으로 지도할 방침이다. 공공부문 각 기관에서 무기계약직의 직무특성을 반영한 합리적인 임금체계를 설계하도록 임금 가이드북도 마련·배포할 예정이다. 파견·용역 등 소속 외 근로자를 많이 쓰는 생명·안전분야, 급식 등의 분야는 올해 안에 사례조사를 해 실태를 파악기로 했다. 각 기관의 ‘용역근로자 근로조건 보호지침’이행 여부도 점검, 기관평가에 반영한다.
Since 1995 대한뉴스 홈페이지 http://www.daehannews.kr에서 더 많은 기사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