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재 신공항 후보지를 두고 영남권 지자체간 경쟁이 뜨겁다. 대구·경북·울산은 밀양을, 부산은 가덕도, 경남은 정부용역 결과를 수용하기로 한 5개 지자체 합의를 따라야 한다는 입장을 내놓고 있다. 후보지는 6월 말에 최종선정 결과가 발표된다. 국토교통부는 지난달 12일 코레일 서울지역본부에서 ‘영남권 신공항 사전타당성 용역 중간보고회’ 를 비공개로 열고 그간의 연구결과와 앞으로 계획을 논의했다. 국토부는 현재 후보지 입지선정이 2~3단계 정도 진행됐다고 밝혔다. 용역기관인 파리공항공단엔지니어링(ADP)은 경남 밀양, 부산 가덕도 등 10여 곳을 대상으로 한 입지평가 기준은 총 5단계로 진행된다고 설명했으며, 이는 공항 운영(기상·관제·장애물 등), 후보지 여건(시장성·확장성·접근성 등), 사회·환경(소음·지역경제효과·환경성 등), 비용 및 사업 추진 용이성 등으로 검토된다고 밝혔다.
대구·경북·울산은 밀양에 활주로 2개짜리 신공항을 만들자고 제안하면서 입지 평가항목에 신공항 접근성, 공항운영 안정성, 공항 건설과정에서의 환경훼손 여부, 조성원가, 활주로 규모 등을 반영해 달라고 요구했다. 반면 부산은 가덕도에 24시 운영할 수 있는 활주로 1개짜리 신공항을 만들어 김해공항과 함께 운영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경남은 중립적이다.
우리나라에는 현재 국내선 7개, 국제선 8개 등 총 15개의 공항이 운영중이다. 3개를 제외한 나머지 공항은 대부분 적자로 운영되고 있다. 정확한 수요판단과 사업성을 고려하지 않았던 지방공항 건설은 선거표를 의식한 전 정권의 선심성 지역사업으로 현재 세금으로 적자를 채우는 악순환을 반복하고 있다. 이번 영남권 신공항 건설을 놓고 지자체는 다시 시끌시끌하다. 이러한 폐해를 반복하지 않기 위해 사업 타당성을 객관적으로 검토해 입지선정을 신중히 결정해야 하고, 지자체들은 지역이기주의가 아닌 장기적인 국가이익을 내다봐야 한다.
since1995 대한뉴스 홈페이지 www.daehannews.kr에서 더 많은 뉴스를 볼 수 있습니다.